•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2019년 10호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K2-18을 공전하는 K2-18b는 지구보다 8배가량 큰 질량을 갖고 있으며, 대기가 있는 암석 행성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얻은 분광 데이터를 이용해 K2-18b의 대기 ...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

    과학동아 2019년 07호

    ☞이어지는 내용을 보려면? #우주동결 #우주분해 #우주수축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별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듯, 태양 역시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다. 과학자들은 밤하늘에서 탄생의 순간을 맞는 별부터 죽음을 맞이하는 별까지 다양한 별들을 관측하며, 태양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사라질지 추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2019년 07호

    ATA)’라는 지름 6m짜리 전파망원경 42대로 2만 개의 적색왜성을 모니터링한다. 이것으로 적색왜성 주변에 지구와 비슷한 일곱 개의 행성이 돌고 있는, 외계생명체의 존재가 의심되는 행성계 트라피스트(TRAPPIST)-1 시스템도 집중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과학굴기를 보여주고 있는 중국도 외계생명체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

    과학동아 2019년 05호

    뜨겁고 반대쪽은 영원히 밤이라 추우니, 사람이 살기에 적당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적색왜성은 광도 변화가 심하고 표면에서 폭발이 자주 일어납니다. 2016년에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에서 행성이 발견됐습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b라는 이름이 붙은 이 행성은 지구보다 약간 크며, 거주 가능한 영역에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2018년 06호

    우주에 존재하는 별의 90% 이상은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한 뒤, 헬륨 핵융합이 시작되는 적색거성을 거친다. 적색거성 단계가 끝날 무렵 바깥 대기층에서 전하가 방출되면서 행성상 성운을 이룬다. 마지막으로 대기가 거의 없어지고 핵융합이 종료되면 중심별만 남아 천천히 식어가는 백색왜성이 된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2018년 01호

    통합과학의 첫 단원은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는가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된다. 팽창하는 우주에서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 지금으로부터 약 138억 년 전에는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초고온, 초고밀도 상태로 한 점에 모여 있었다. 이때는 아직 우주가 생성된 ...

  • 수학은 외계어!

    수학은 외계어!

    수학동아 2017년 04호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외계인과 소통할 방법을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적색왜성★ 태양보다 작고 어두운 별이다. 우주에 있는 별의 75%를 차지한다.그에 대한 답은 수학이 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홍성욱 박사는 “수학이 우주에서 통용되는 유일한 언어라 하기는 어렵지만, 소통의 ...

  • [과학뉴스] X자 모양의 붉은 거미 성운 포착!

    [과학뉴스] X자 모양의 붉은 거미 성운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23호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붉은 거미 성운(NGC 6537)’의 사진을 공개했어요. 지구에서 약 3000광년 떨어진 궁수자리에 존재하는 이 성운은 붉은 색을 띠고 거미 다리를 닮은 X자 모양을 갖고 있어서 ‘붉은 거미’란 이름이 붙었답니다.이번에 발견된 붉은 거미 성운은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22호

    돌고 있어요. 적색왜성은 태양보다 50억 년을 더 살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긴 별이지요. 적색왜성이 중심인 원시태양계는 전체의 1.3% 정도로 매우 드물답니다.연구를 이끈 스티븐 실버버그 교수는 “시민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새로운 발견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과학동아 2016년 01호

    우리나라 과학자가 우주 팽창 연구에 사용되는 제1a형 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를 제시했다.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백색왜성과 보통 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 제1a형 초신성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