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

    과학동아 2020년 03호

    보다 많은 사람을 감염시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월 24일 코로나19의 재생산지수가 1.4~2.5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스(4)보다 낮고 메르스(0.4~0.9)보다 조금 높은 수준입니다. 이 기준에서 영국의 세 번째 확진자는 코로나19 슈퍼전파자입니다. 슈퍼전파자는 주로 면역력이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

    수학동아 2020년 03호

    한 명의 감염자가 평균적으로 감염시키는 2차 감염자의 수를 의미하는 기초감염재생산지수(R0)를 기준으로 측정한 개개인의 전파력을 적용한다. R0보다 훨씬 많은 자손을 만들어내는 슈퍼전파자의 정보를 대입하면 정확한 전파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수학 모형으로 평가한 방역 정책은?이런 복잡한 ...

  • 정교한 예측 돕는 숨은 숫자

    정교한 예측 돕는 숨은 숫자

    수학동아 2019년 11호

    우간다 굴루 지역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조사했는데. 해당 기간 동안의 기본 재생산 계수(R0)는 1.6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돼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뒤 죽을 때까지 약 1.63마리를 감염시킨다는 거예요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2019년 11호

    전 처음 등장한 자기 복제 로봇자기 복제 로봇을 간단히 정의하면 자신과 똑같은 개체를 재생산할 수 있는 로봇이다. 영화 속 Rev-9은 물컹한 액체 괴물처럼 쭉 늘어나면서 순식간에 복제하지만, 현실에서 자신을 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19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자기를 복제하는 것은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2019년 02호

    연근해자원과 연구사는 “수산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재생산을 통해 이전의 개체수를 회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어업을 해야 한다”며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 오징어의 과도어획이 지속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징어 자원에 대한 남획이 10년 이상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수학동아 2018년 08호

    노이만미국 수학자 폰 노이만은 인공생명이라는 용어가 나오기도 전인 1940년대에 스스로 재생산(자기-재생산)할 수 있는 논리 모형을 만들 수 있다면 소설 속 괴물과 같은 인공생명체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논리 모형을 이론적으로 최초로 제시한 영국 수학자 앨런튜링의 ‘튜링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

    과학동아 2018년 07호

    “보통 전염병의 전염성을 나타내는 수치로 ‘재생산 지수’를 쓴다”며 “홍역의 재생산 지수는 12~18로, 이는 환자 1명이 12명에서 최대 18명까지 감염시킬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젊은 사람들에게 홍역은 낯선 감염병이다.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홍역 퇴치 국가로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

    수학동아 2018년 01호

    기대치. 이 모형은 전염병을 수학적으로 연구한 첫 번째 사례로 꼽힙니다. 이후로 기본 재생산 계수를 포함해 전염병을 설명하는 여러 모형이 개발됐어요. 그래도 곳곳에 베르누이의 흔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면역력이 없는 사람을 실제로 감염시키는 비율인 ‘감염력’과 감염자 중 사망하는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2017년 06호

    의심치 않았다. 만약 ‘바이오로깅’이 없었다면 이런 오개념이 상식이라는 이름으로 재생산되고 있을 터였다. 바이오로깅은 야생동물에 기록계를 붙여 행동과 생태를 연구하는 기법으로, 흔히 위치 추적기를 붙여 동물의 이동 경로를 밝힌다. 카메라를 부착해 동물의 시점으로 사냥 장면을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

    과학동아 2017년 02호

    유닛이죠. 상대적으로 남성은 끝없이 소모해도 괜찮은 유닛이고요(물론 여성들이 끝없이 재생산해준다는 전제하에서요). 이건 게임이 일방적으로 우리에게 강요한 삶은 아니에요.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게임 이전에도 인류의 삶은 비슷했다고 하니까. 어쨌거나, 우리-게임은 이 상황을 정당화하기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