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

    과학동아 2023년 11호

     가을 하늘이 청명했던 10월 4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에서 황종원 희귀핵연구단 연구원을 만났습니다. 황 연구원은 산소-28 검출 국제 공동연구에 참여한 국내 연구진 중 하납니다. 2012년부터 시작된, 산소-28 실험을 위한 선행 연구부터 2015년 11~12월에 걸쳐 진행된 본 실험까지 중성자 검출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2023년 11호

     안녕하세요. 양서연입니다. 저는 오빠가 두 명이 있는 삼남매의 막내예요. 신기한 점은 모두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했어요. 어렸을 때부터 함께 수학 문제를 풀고 이야기하는 게 일상이었지요. 오빠들과 각각 5살, 3살 터울이라 저한테는 어려운 문제였지만, 같이 하고 싶다는 생각에 둘이서 문제를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

    과학동아 2023년 11호

     10월 12일, 연세대 대운동장 뒤쪽에 자리 잡은 기초과학연구원(IBS) 건물(왼쪽 사진). 처음 마주하곤 기자는 걸음을 잠깐 멈췄다. 지하로 1층, 지상으로 6층 규모의 건물 전체를 타고 흐르는 유려한 곡선이 커다란 파도처럼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이곳은 2015년 설립된 IBS 나노의학 연구단이 둥지를 ...

  • [과학뉴스] 또다시 어긋난 뮤온 g-2 실험 결과 표준모형 너머 미지의 이론 있을까

    [과학뉴스] 또다시 어긋난 뮤온 g-2 실험 결과 표준모형 너머 미지의 이론 있을까

    과학동아 2023년 10호

    오늘날 과학은 표준모형과 중력을 이용해 우주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현상을 설명한다. 전자, 쿼크, 중성미자 등 기본입자 17개로 구성된 표준모형은 전자기력, 강한 핵력, 약한 핵력을 설명하는 ‘현대 물리학의 근간’이다. 그런데 이 표준모형을 뒤흔들 만한 실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페르미국립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 노오란 마리골드 꽃이 피었다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 노오란 마리골드 꽃이 피었다

    과학동아 2023년 10호

     “아으­, 셔!”화성의 정조 과학기지에서 생활한 지 6개월이 넘어가고 있다. 대원들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업무의 특성 때문에 나는 상추와 케일, 가지 외에도 다양한 작물을 길러왔다. 의외로 인기가 좋았던 것은 적소렐이었다. 소렐은 한국에서는 주로 수영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곤 하는데, 들이 ...

  • [과학뉴스] 인공눈물 만들기 위해 눈물을 굴리다

    [과학뉴스] 인공눈물 만들기 위해 눈물을 굴리다

    과학동아 2023년 09호

    눈물은 소금물보다 훨씬 복잡한 액체다. 사람의 눈물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염분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있어 눈물의 점성을 만들고, 안구를 촉촉하게 유지해준다. 이런 눈물의 특성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다면, 안구건조증 환자들이 사용하는 인공눈물과 안약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 ...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

    과학동아 2023년 09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은 천재 과학자들에게만 수여한다는ㅋ아인슈타인 메달이 지난 6월 한국 들어왔다는 소식에, 기자는 대전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한국형 전파망원경 간섭계(KVN) 관측실로 한 달음에 달려갔다. 메달이 한국에 오게 된 이유를 취재하기 위해(사실 그보다는 아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가지구이를 위해 떠난 화성 돌 사냥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가지구이를 위해 떠난 화성 돌 사냥

    과학동아 2023년 09호

     “아침밥 제대로 먹은 거 맞아요? 그렇게 꾸물대면 사냥을 제대로 할 수 있겠어요?” 대원들에게 인기가 없어 잔뜩 남은 케일과 브로콜리를 먹어 치우고 있던 내게 지질학자가 재촉했다. 정조 과학기지의 지질학자 C는 스스로를 ‘사냥개’라 칭하는 불 같은 사람이다. 그가 주로 사냥하는 것은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08호

    우리 식탁을 바꾼 우장춘 박사를 만화로?육종학자인 우장춘 박사는 일본에서 연구활동을 하다가 1950년 우리나라로 돌아와 해방 직후 부족한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산물 품종을 연구했어요. 새로운 품종의 곡식이나 과일 등을 연구하는 학문을 육종학이라고 해요. 우 박사는 쌀이나 보리 ...

  • "적어도 과학책은 문장 때문에 고민하지 않도록"

    과학동아 2023년 08호

     “물리학의 구약성서.” 아이작 뉴턴이 1687년 발표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를 이르는 말이다. 줄여서 ‘프린키피아’라고 불리는 이 책에서 뉴턴은 자신의 운동법칙 세 가지와 만유인력의 법칙을 정리했다. 그리고 이 법칙들로 대포알이 떨어지는 궤적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