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3호

    살다가, 자라면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하며 육지와 물을 오가며 살지요. 그렇다고 양서류가 육지 어디에서나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피부 호흡을 하려면 피부가 항상 축축해야 해서 건조한 지역에서는 양서류가 살기 힘들죠.  현재 양서류는 개구리와 두꺼비를 비롯해 도롱뇽, 영원, 다리가 없는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2호

    이것이 무선 통신의 시작이에요. 덕분에 선으로 연결될 수 없는 배나 비행기도 육지와 통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발명으로 무선 통신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덕분에 라디오 방송부터 스마트폰의 전화와 인터넷까지 무선으로 가능하게 됐어요. ...

  •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

    과학동아 2022년 12호

    해양 정화운반선을 소개하는 카드뉴스를 제작했습니다. 기존에는 해양 쓰레기를 수거해 육지로 가지고 와 매립했지만 해양 정화운반선은 해양쓰레기를 수거한 후 이를 선박 내에서 동결파쇄해 다시 선 박의 연료로 활용합니다. 서민교 부산진여중 2학년 학생은 “해양 쓰레기를 줄일 뿐만 아니라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1호

    빠르게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엄청나게 쓰이는 전기 에너지와 이로 인한 기후위기와 해수면 상승.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장소 중 하나로 바닷속을 제시했어요. 해저 공간이 인류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거라고 해요. 바로 ‘해저 도시’죠. 한국은 해저 도시 선두주자지난 4월 13일, 한 ...

  •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1호

    Intro.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Part1.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Part2. [특집] 해저 도시 로봇이 짓는다Part3.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Part4. [특집] 미래의 생활 공간 해저 도시 속 생활 모습은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1호

    지진이 나타난 것을 확인했어요. 연구팀은 이 지진으로 높이 21m의 큰 쓰나미가 발생해 육지에 살던 생명체는 모두 사라지고, 바다에 존재하던 퇴적물이 사막지대로 이동했을 거라 분석했습니다. 지층에서 발견한 퇴적물들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한 결과 3800년 전의 것으로 파악했지요. 연구팀은 ...

  • [특집] 4교시

    [특집] 4교시 "바다와 사람을 존중하라!"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10호

     연안에서 바다의 흐름은 크게 두 가지예요. 연안의 해안선을 따라 흐르는 연안류와 육지에 부딪힌 뒤 다시 한번에 바다로 돌아나가는 이안류지요. 이안류는 폭이 좁고 초당 2~3m 이동하는 빠른 특징이 있어요. 이승대 대표는 “박태환 선수가 올림픽 400m 수영경기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의 속도를 ...

  • [가상 인터뷰] 스피노사우루스의 수영 비결은 뼈에 있다?

    [가상 인터뷰] 스피노사우루스의 수영 비결은 뼈에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9호

    있는 부분이 많은 뼈로 분류했어요. 물에서 수영하는 동물은 주로 뼈의 밀도가 높았고, 육지에서만 지내는 동물은 밀도가 낮았죠. 스피노사우루스도 수영하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뼈가 조밀하게 생겼습니다. 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를 통해 스피노사우루스도 직접 수영을 하며 어류를 사냥했을 거라고 ...

  • [이달의 책] 화석에 담긴 1억년 전 동물들의 사생활 외

    [이달의 책] 화석에 담긴 1억년 전 동물들의 사생활 외

    과학동아 2022년 09호

    때, 바다에서 서식하는 현생 고래와 달리 이들의 새끼는 머리부터 나오는데, 임신한 육지 고래 뱃속에서 새끼가 거꾸로 있는 순간이 화석으로 남아 알 수 있었다. 들키고 싶지 않은 행동이 박제가 돼 버린 경우도 있다. 흰개미도 방귀를 낀다. 하필 도미니카에서 흰개미가 항문에서 방귀 기포를 ...

  •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

    어린이수학동아 2022년 07호

    이클은 한결 가벼워진 마음으로 바다로 돌아갈 채비를 했어요.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육지의 어린이들에게 더 쉽고 즐거운 재활용 방법을 알려주자!”리사가 들뜬 목소리로 말하자, 이클이 맞장구를 쳤어요.“그래! 우리 다 함께 힘을 모아서 쓰레기로 고통받는 지구를 구하는 거야!”  캔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