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뉴스] 인간에 돼지 신장 이식, 이종간 이식 실험 첫 성공

    [과학뉴스] 인간에 돼지 신장 이식, 이종간 이식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2021년 12호

    로이터 통신은 로버트 몽고메리 미국 뉴욕대 랑곤헬스 이식센터장팀이 유전자 조작한 돼지의 신장을 뇌사자의 몸에 이식하는 수술에 성공했다고 10월 20일 보도했다. 이식용 장기가 부족한 상황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돼지는 인간의 몸에 장기를 이식할 잠재력이 있는 동물로 오랫동안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

    과학동아 2021년 11호

    두껍고 원하는 형태의 배양육을 얻기 위해서는 뼈대를 사용하거나, 유전자조작해야 한다. “뼈대 재료로 콩에서 추출한 단백질(TSP)을 쓰는 기업이 가장 많아요. 고기와 비슷한 식감을 구현하는 데 탁월하지만 물성을 변형하기가 쉽지 않고 식물성 고기 특유의 이질적인 맛이 똑같이 난다는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

    과학동아 2021년 09호

    만드는 작은 공장이라 할 수 있어. 우린 그중에서도 미생물을 이용하지.” 유전자조작하거나 화학물질을 첨가해  미생물로 다양한 화학물질을 만들던 연구실이었다. 5L짜리 반응기에 가득 담겨 약의 원료나 유기 용매 등을 만들어내는 대장균을 보며 당시엔 ‘미생물 학대 아닌가’란 생각도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03호

    인간의 세포와 유전자 조작 소에서 채취한 항체로 만든 치료제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유전자 조작 소에서 유래된 항체 치료제가 사람의 피에서 유래된 항체 치료제보다 항체의 농도가 4배 더 높았어요. 항체의 농도가 높을수록 치료가 성공할 확률이 높아지고 만들 수 있는 백신의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

    과학동아 2021년 02호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IQSEC3 유전자의 존재는 2004년 처음 밝혀졌지만, 당시까지만 ... 현재는 IQSEC3 단백질이 전혀 발현되지 않도록 유전자 조작을 한 쥐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연구하고 있다. 엄 교수는 “현재 연구를 마무리하고 있고, IQSEC3 단백질의 새로운 작동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2020년 11호

    공로, 마이클 호턴(70)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최초로 밝힌 공로,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 교수는 C형 간염 ... 치료제를 개발하기 전에 꼭 필요한 바이러스 증식 기술, 바이러스를 조작해 원하는 재조합 바이러스를 합성할 수 있는 바이러스 유전공학 기술,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과학동아 2020년 11호

    노벨위원회 역시 10월 7일 수상자 발표에서 유전자 가위는 인류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 아기’를 만드는 것처럼 오용 가능성도 존재한다며 유전자 가위에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그럼에도 유전자 가위 기술의 중요성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잘못된 유전자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끊이지 않는 환절기 비염, 이유가 뭘까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끊이지 않는 환절기 비염, 이유가 뭘까

    과학동아 2020년 11호

    히스타민 수용체와 결합해 통증을 발생시키고요.그렇다면 수용체를 조작하면 비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지 않을까요? 배 교수는 “수용체는 유전자에 의해 사람마다 다르게 발현된다”며 “개인이 가진 특정 수용체를 없애는 맞춤형 유전자 치료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고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2020년 08호

    TSPO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 조작 쥐를 만들어 실험에 돌입했다. TSPO ... 7.2019.1659616 김 교수는 현재 또 다른 유전자 조작 쥐를 만들어 실험 중이다. 띠뇌실막세포 내에서 TSPO 단백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다른 단백질을 찾기 위해서다. 김 교수는 “TSPO 단백질의 기작을 밝힌 것만으로 지질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2020년 07호

    주장했다. T림프구의 항원 수용체 역시 유전자 재배열로 다양성을 획득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 분야와는 전혀 다른 신경과학 분야로 넘어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