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F] 속도의 맛

    [SF] 속도의 맛

    과학동아 2023년 12호

    자기 육체 전부를 미국의 첨단 생명공학 회사에 팔았다. 그의 물질적인 육체뿐만 아니라 유전자 정보, 혈액 정보, 신경세포 정보, 호르몬 정보 같은 모든 생물학적 정보까지도 해당 회사의 소유물이 됐다. 여기에 더해서 그의 육체와 생물학적인 정보를 이용해서 앞으로 개발하게 될 모든 신약에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2023년 12호

    구성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대사 활동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 생명체의 유전자 전체, 즉 ‘유전체(게놈・Genome)’의 내용을 알 수 있다면, 그 생명체를 궁극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바로 그런 시도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Human Genome Project)’였다. HGP는 1990년부터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

    과학동아 2023년 12호

    어떤 유전자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목표예요.” 어떤 유전자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이 질문은 유전체학이 생물학의 범위 내에서 알아내고자 하는 답에 가깝다. 이 답을 찾을 때까지, 더 정확한 유전체 지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

    과학동아 2023년 12호

    여기 속한다. 예를 들어 GS칼텍스가 생산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한 2,3-부탄다이올은 유전자조작을 하지 않은 바이오매스 및 미생물을 활용해 얻는 물질로, 보습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바이오매스 등에서 추출한 유기물을 연료로 가공하는 바이오에너지 분야,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과학동아 2023년 12호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핫 캡 같은 간단한 구조물을 활용해 단기간이나마 유전자 조작 식물을 키워냈다는 성과는 테라포밍의 시계를 앞으로 꽤 당기는 기점이 됐다. 물론 이것도 화성의 여름철에나 가능한 일이긴 하다. 화성에서 내가 보낸 일 년의 시간은 인류의 화성 거주 가능성을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

    과학동아 2023년 12호

    의학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강과 질병, 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식별하고, 이것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내 병을 일찍 진단하고 예방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인간 유전체 연구는 사회도 변화시킬 겁니다. 집단이 어떤 정체성을 띠는지, 개인의 특성이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

    과학동아 2023년 11호

    인간의 유전물질이 더 많이 검출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인간 유전자 혼획(HGB)’이라고 이름 붙였다.HGB로 찾은 인간 DNA는 조상 혈통이나 자폐증, 당뇨병, 심장 질환 등의 질병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더피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인간 ...

  • 박멸이 답일까?

    박멸이 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1호

    위한 각종 기술에 조심스럽게 우려를 표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모기의 유전자를 바꾸는 기술에 내성을 가진 새로운 모기가 생길 수도 있다는 거예요. 한국방역협회 신이현 연구소장은 “모기의 애벌레인 장구벌레는 잠자리 애벌레,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의 먹이가 된다”며 “모기가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2023년 11호

    의견과 데이터를 제공 받아 이를 수학적으로 분석해요. 최근엔 검찰청, 법의학자와 함께 유전자 데이터로 민족을 분류해 시각화하는 연구를 했어요.  Q. 다른 분야와 협업할 때 어려운 점이 있나요? 큰 어려움은 없어요. 칼손 교수님이 제게 “네가 뭘 연구했는지 어르신도 알 수 있게끔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

    과학동아 2023년 11호

    유전 질환 상당수는 유전 물질인 DNA의 돌연변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9월 19일, 구글의 인공지능(AI) 연구 조직 구글 딥마인드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DNA의 ‘미스센스 돌연변이’를 분석하는 AI인 ‘알파미스센스(AlphaMissense)’를 개발해 7100만 개에 달하는 미스센스 돌연변이의 위험성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