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자자리 별똥별 쇼 올해가 마지막

    사자자리 별똥별 쇼 올해가 마지막

    과학동아 2002년 11호

    지난해 11월 19일 새벽! 한반도 상공에서는 별똥별이 소나기처럼 쏟아졌다. 바로 사자자리 유성우의 장관이었다. 1년이 지난 올해 11월 과연 사 ... 적어도 템펠-터틀혜성이 다시 지구를 찾아오는 2032년까지는 기다려야 한다. 올해의 사자자리 유성우를 노려봐야 할 또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2002년 08호

    하면 페르세우스자리에서만 유성이 보인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그렇지 않다. 단지 유성우에 속한 유성들은 하나의 복사점에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떨어진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를 관측하면서 이 사실을 느낄 수 있다면 일차적인 목표는 달성된 것이다.그렇다면 왜 유성들은 이런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2002년 08호

    준비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이왕 시작한 거 아마겟돈을 갖고 갈 때까지 가보자. 유성우로 인해 아틀란티스호가 파괴되고 뉴욕이 불바다가 됐을 때 NASA의 책임자인 댄 트루먼은 현재의 예산으로는 지구로 접근하는 소행성의 3%밖에 감시할 수 없다고 말한다.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2002년 04호

    별똥별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한폭의 사진에 담아 동상을 차지한 권오철씨의 ‘사자자리 유성우’가 주목을 받았다. 또 청소년 부문에서는 안드로메다은하를 찍어 동상을 획득한 김동희군의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한편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

    과학동아 2001년 12호

    곳을 지나칠 때면 이들 부스러기가 지구 중력 때문에 대기권에 떨어진다.이번 사자자리 유성우는 템펠-터틀 혜성이 1699년, 1866년 태양 근처를 지나면서 지구공전 궤도에 남긴 잔해 구름을 지구가 지나가면서 발생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 대규모 별똥별이 관측된 이유는 지구가 혜성 잔해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2001년 11호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지점)은 사자자리 머리쪽에 있다. 또 사자자리 유성우는 밝은 화구가 대단히 많고 유성 속도가 빠른 점이 특징이다.수성이 금성을 만날 때11월 3일 새벽 두 내행성 금성과 수성이 만난다. 두 행성이 만나는 일은 별로 특별하지 않지만, 상대가 수성이기 때문에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2001년 10호

    혜성 부스러기는 밤하늘에 유성이 돼 쏟아져내린다. 이렇듯 혜성은 멋진 꼬리와 유성우라는 두가지 우주쇼를 보여준다.혜성은 크게 핵과 코마, 꼬리로 나뉜다. 핵은 지름이 수km 정도로 얼음과 먼지 티끌, 암석이 섞인 덩어리이다.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뜨거운 열 때문에 얼음 물질은 기체로 돼 핵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2001년 05호

    이를 확인하기 위해 NASA는 지난 1999년 11월 17일 혜성이 남기고 간 물질인 ‘사자자리 유성우’에 관해 외계 물질의 존재 여부, 혜성의 잔해와 지구 대기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생성 물질 등을 조사했다. 하지만 좀더 정확한 정보수집을 위해서는 혜성을 쫓아가 이들 미세 입자를 손에 넣어야 할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과학동아 2001년 04호

    시간에 특정 별자리 주변으로 다수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별자리 이름을 붙여 유성군(유성우)으로 명명한다.봄기운이 완연한 4월 22일 새벽하늘에서는 거문고자리를 시발점으로 해 방사상으로 떨어지는 유성을 볼 수 있다. 떨어지는 개수는 그리 많지 않아서 시간당 약 10개 정도다. 유성이 떨어지는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2001년 01호

    것은 8월의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와 12월의 쌍둥이자리 유성우 밖에 없다.용자리 이오타 유성우의 별똥별은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3일 밤 10시부터 자정 사이에 복사점의 고도가 낮을 때는 북두칠성 아래에서 남쪽 오리온자리쪽으로 별똥별이 가끔 천천히 길게 흘러가는 모습도 발견할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