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2012년 09호

    이런 전통이 생겼을 것이다. 그런데 원앙의 짝짓기 행동을 제대로 이해했다면 선조들이 원앙을 결혼의 상징으로 결정했을지 모르겠다.새들은 주로 일부일처다. 포유류는 약 3% 정도만 일부일처제지만, 새는 약 90%가 일부일처제다. 일부일처제를 유지한다고 해서 반드시 모든 자식이 같은 부모의 ...

  • 쭈잇, 쭈잇, 찌이~♪ 새소리를 따라서!

    쭈잇, 쭈잇, 찌이~♪ 새소리를 따라서!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11호

    하얀색이고, 부리는 검은색이었다. 수컷은 암컷과 달리 머리 뒤에 화려한 깃털이 있었다.원앙은 화려한 모습의 수컷과 수수한 모습의 암컷이 함께 무리를 지어 물가를 날아다녔다. 이밖에도 속리산에는 많은 새들이 살고 있어.오늘 하루 동안이었지만 우리는 마치 새 박사가 된 기분이었단다.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2009년 06호

    이들 표본은 모두 일본 도쿄 야마시나조류연구소에 있어 정작 우리는 세밀화로만 원앙사촌을 감상할 수 있을 뿐이다.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자생 생물 세밀화 공모전을 개최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 자생 생물의 분류 정보를 담은 생물지를 출간하고 있다. 생물지에는 자생 생물의 형태, 서식지, 분포, ...

  • 조선조류열전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2008년 01호

    점에서 원앙사촌을 한국에서 무분별하게 채집해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선의 새인 원앙사촌이지만 박제조차 없이 목각표본만 덩그러니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에 전시돼있어 아쉬움을 더한다 ...

  • 마을숲은 한국형 생태도시

    마을숲은 한국형 생태도시

    과학동아 2006년 11호

    보룡숲에는 가슴높이 지름이 1m가 넘는 큰 나무도 있다. 게다가 이 나무는 속이 비어있어 원앙, 소쩍새, 솔부엉이 같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새의 둥지가 된다. 마을숲이 생물의 보금자리가 되는 셈이다.하천에서 태어나 애벌레 시절을 보낸 애반딧불이가 마을숲에서 몸을 딱딱하게 단련한 뒤 숲으로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어린이과학동아 2005년 15호

    낯설지만 싸우지 않고 사이좋게 지내고 있답니다. 서울숲의 연못에는 흰뺨검둥오리와 원앙 외에도 청둥오리, 쇠물닭, 백로, 왜가리들이 살고 있어요. 연못 주변에 자라고 있는 갈대, 물억새, 창포, 연꽃과 물에 떠서 살고 있는 개구리밥, 부레옥잠, 물 속에 살고 있는 가래, 검정말, 부들과 같은 ...

  • 예쁜 수컷, 강한 암컷

    예쁜 수컷, 강한 암컷

    과학동아 2005년 03호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무지개 색깔로 화려하게 치장한 원앙과 잿빛 깃털로 뒤덮인 원앙이다. 화려한 새가 수컷이고 칙칙한 새가 암컷이다. 천둥오리를 비롯해 꿩, 공작, 호사도요 등도 모두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아름답다(암컷이 더 아름다운 새도 일부 있다).새 뿐만이 아니다. 사자는 수컷만이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2003년 09호

    한마리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여름철에 볼 수 있는 오리는 흰뺨검둥오리와 원앙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새라고 알려져 있던 비오리가 7-8년전 동강에서 여름철에 처음 발견된 바 있다. 최근 서산 간척지 일대에서도 여름철에 비오리를 봤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이날 사실임을 ...

  •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아이디어 만발한 동식물의 짝짓기

    과학동아 2003년 05호

    생길 수 있다. 여러 정자를 받았다면 그 병에 강한 놈이 있어 살아남을 텐데 말이다. 즉 원앙의 바람은 종족의 생존력을 키우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식물에서도 이와 비슷한 자연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꽃을 피우는 현화식물(꽃식물)은 점잖은 체면에 꽃이라는 생식기를 버젓이 달고 있다. 그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1999년 03호

    아주 모욕적인 말이다. 제비는 매우 헌신적으로 일부일처제를 지키는 동물이다. 기러기, 원앙과 함께 부부금실을 상징하는 동물로 제비를 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우리나라와 같은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는 흔히 남자가 여자를 고르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한번 고른 여자는 마치 자신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