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2015년 01호

    아인슈타인조차 일반상대론이 품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다 알지는 못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팽창하는 우주와 블랙홀을 부정했고, 중력파를 부인하는 논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일반상대론은 창시자가 죽은 뒤인 1960~1970년대에 와서야 황금기를 맞는다. 일반상대론은 아인슈타인만의 것이 아니며,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2014년 06호

    우주가 시끄럽다. 정확히 우주의 탄생을 둘러싼 논쟁이 시끄럽다. 3월 미국 바이셉2 연구팀이 우주배경복사에서 중력파를 찾았다고 발표한 것이 대표적이다. 우주의 탄생에 대해 논란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우주에 관심이 많고,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는 의미다. 처음 태어난 이 후 약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

    과학동아 2014년 04호

    이번 연구가 발표된 컨퍼런스에서 밝게 웃고 있는 과학자들을 보며 마음 속에서 울컥하는 것이 올라왔다. 지난 10년에 걸친 그들의 땀과 노력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흔히 위대한 발견 앞에서 사람들은 발견자의 천재성을 이야기 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들의 흔들리지 않는 강철심장을 이야기 하고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2014년 04호

    [바이셉2 망원경의 패널에는 우주배경복사 편광성분을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들이 연결돼 있다. 컴퓨터 기판의 집적회로 구성과 비슷하다.]이번 연구 논문은 현재 ‘네이처’에서 심사 중이다. 그런데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중력파, 즉 시공간의 물결을 포착한 첫 사례”라고 하버드-스미소니언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

    과학동아 2013년 10호

    우주의 역사에 비하면 찰나에 불과한 삶을 살다 가는 우리가 보기에 별은 언제나 한결같이 그 자리에서 빛나고 있는 것만 같다.그러나 별 또한 이 우주에서 영원한 것이 아니다. 별들은 언제 어떻게 태어났을까.어떻게 이 우주는 암흑천지에서 반짝이는 별로 가득 차게 됐을까.우주에 암흑시대가 있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2013년 09호

    1000억은 큰 수다. 우리은하 안에 있는 별의 숫자가 대략 그 정도다. 그런데 인간은 모두 머릿속에 이 큰 수를 품고 있다. 바로 뇌 안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의 수다.하지만 뇌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신경세포가 아니다. 이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이다. 대뇌의 가장 바깥 조직인 신피질에 있는 200억 개의 ...

  • Part 1. 빅뱅은 두 막의 충돌일까?

    Part 1. 빅뱅은 두 막의 충돌일까?

    과학동아 2013년 07호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모습은 어떨까. 그 우주를 이루고 있는 물질의 궁극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20세기에 물리학은 두 질문에 대해 아주 그럴듯한 대답을 내놓았는데, 그것이 입자물리 표준모형과 표준우주론이다.입자물리 표준모형은 우주를 이루는 궁극적인 실체를 크기가 없는 점 입자로 보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

    과학동아 2013년 05호

    지난 3월 20일, 유럽우주기구(ESA)는 과학위성 ‘플랑크(PLANCK)’의 첫번째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플랑크는 태초의 우주가 남긴 흔적인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CMBR,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한 위성으로, 1989년의 코비(COBE), 2001년의 더블유맵(WMAP, 이상 미국)에 이어 2009년 발사됐다.코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2012년 05호

    사람이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한다는 것은 역사와 일상을 통해 자명하다. 특히 과학이 잘 정립되지 않았던 과거엔 더욱 그랬다. 인류는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 현상이 나타나면 하늘이 우리에게 노했다고 생각했고, 큰 유성이 떨어지면 위대한 인물이 세상을 떴다고 해석했다. 자신의 나 ...

  • 우주망원경 총정리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2012년 04호

    흔히 우주를 텅 빈 암흑의 공간이라고 부른다. 보이는 것이라고는 가까운 태양계 내 천체를 빼면 아주 멀리 떨어진 별이나 외부은하에서 오는 빛이다. 그것도 우리 눈에는 기껏해야 작은 점으로만 보일 정도로 약하다. 이런 약한 빛에 의존해 먼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은 어떻게든 빛을 가로막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