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2010년 07호

    ‘울며 겨자 먹기’로 3차 발사를 강행할 경우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자체의 전면 수정이 불가피하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두 차례 발사 실패로 한국이 만든 상단로켓 기술을 완벽하게 검증하지 못했다”며 “국민 정서를 보상하는 차원에서 3차 발사가 필요하지만 이 역시 실패하면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2006년 02호

    우주개발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장기적인 계획에 발맞춘 우주인 양성을 통해 우주를 누빌 ... 밝혔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우주인 사업은 우주개발중장기사업 가운데 핵심 사업으로 폐기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차기부총리가 취임하는대로 곧 새로운 사업 추진 일정이 결정될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2004년 10호

    시작한다. 또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새 원전 건설도 처음 계획보다 1년 이상 미뤄지고 있다.석유 위기는 전쟁과 테러 등 극단적인 ... 20세기의 에너지 사용 형태를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류는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이고 새로운 에너지 혁명을 준비해야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2004년 06호

    국가 차원의 정책방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그 중 정밀 자세제어능력을 갖춘 아리랑 2호의 개발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리랑 2호의 개발은 정밀관측을 위한 정밀 위성 제어 기술과 고해상도 카메라 기술의 조기 확보를 목표로 한다.현재 이코노스(IKONOS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2003년 11호

    한국은 3단계 비행선 개발 과정을 통해 첨단 비행선 산업을 선도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현재 1단계 계획으로 50m 규모의 중형 무인비행선이 개발돼 시험 비행을 준비 중이다.본격적인 성층권 비행선의 개발은 통신 주파수가 배정되면서 시작됐다. 2000년 세계전파통신회의(WRC)가 47-4 ...

  •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

    과학동아 2003년 11호

    말하면 한국의 유인우주계획은 이미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기본계획’에 의해 2015년까지의 일정이 세워져 있다. 현재는 이 기본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이다.국제우주정거장 활용에 참여국가우주개발 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유인우주계획은 신물질과 신약 개발 등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

    과학동아 2003년 11호

    개발과 달 착륙, 우주정거장 건설, 화성 탐사 계획중장기 우주 개발 프로젝트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 협력은 필수적이다. 물론 아직까지 각국이 공동 우주개발이라는 합의점에 이르지 못하고 있지만 국제 협력은 피할 수 없는 대세로 자리잡을 것이다. 최근 유럽이 중국과 인도를 협력 가능한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2003년 07호

    것과 비슷하다.5조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가는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에 따르면 2005년 1백kg급 소형위성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1.5t급 저궤도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를 개발하고 모두 9기의 인공위성을 외나로도 우주센터에서 발사하려고 한다. 물론 2005년까지 우주센터에는 1백kg급 위성용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2003년 06호

    분광기가 실려있는 과학위성 1호는 우리나라 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 따라 개발되는 첫번째 과학위성이다. 위성체는 우리별 3호의 기술을 바탕으로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제작중이다. 놀랍게도 “과학위성 1호는 NASA로부터 연구자금을 지원받고 있다”고 KAIST 물리학과의 민경욱 교수는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2003년 01호

    인공위성을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규모)다.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르면 2005년까지 우주발사체와 과학기술위성 2호를 개발하고 전남 외나로도에 미국의 케네디센터 같은 우주센터를 건설할 예정이다. 계획대로만 된다면 우리의 위성을 우리가 개발한 발사체에 실어 우리 땅에서 발사한다는 꿈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