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

    과학동아 2024년 04호

    인류의 기원과 본질을 묻는 이 질문 자체가 오래 전부터 그 답을 찾고 있는 우리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철학적이며 과학적인 이 고민의 궁극적인 답은 뭘까요? 우주와 인류의 출발점은 어떤 상태였을까 현재 우리는 우주배경복사나 천체에서 관측되는 적색편이 등을 근거로 우주가 여전히 팽창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

    과학동아 2024년 04호

    장구한 세월을 살아오며 놀라운 능력을 갖춘 존귀한 존재이자, 지구의 수십억 년 역사를 함께한 지구 가족입니다. 우리가 이해하는 바다생물의 비밀은 극히 일부입니다. 바다생물에 대한 과학적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지 않는 환경보호 인식을 가졌으면 합니다 ...

  • [인포그래픽] 우주의 역사와 함께 보는, 표준모형 너머의 물리학

    [인포그래픽] 우주의 역사와 함께 보는, 표준모형 너머의 물리학

    과학동아 2024년 04호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수학동아 2024년 04호

    결혼에 막 골인한 신혼부부가 앞으로 백년해로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2009년 미국 수리생물학자 제임스 머레이가 이끄는 연구팀은 부부가 행복하게 함께 살 기간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갓 결혼한 신혼부부 700쌍에게 돈과 사랑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각각 15분간 토론하게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동아 2024년 04호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가 삼각법을 계산하기 위해 만든 표로 알려져 있었다. 삼각법의 역사를 연구하던 브루멜렌 교수는 1440년대 이탈리아의 궁정 점성가이자 수학, 천문학 교수였던 지오반니 비안키니의 논문에서 소수점을 발견했다. 비안키니는 행성의 위치와 움직임을 계산하기 위해 삼각법을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있기까지 BCI 50년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있기까지 BCI 50년

    과학동아 2024년 04호

    1973년 뇌와 컴퓨터를 연결한다는 개념이 탄생한 이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 분야는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덕분에 생각으로 사물을 움직이고, 말 없 ... 구현 할 수 있게 됐다. BCI기술이 어떤 흐름을 거쳐 뉴럴링크가 나올 수 있었는지, 반세기의 역사를 정리했다 ...

  • [Chapter 4] 수학자의 호기심, 별별 예측

    [Chapter 4] 수학자의 호기심, 별별 예측

    수학동아 2024년 04호

     사라진 양말을 수치로! 양말 손실 지수 수학자라고 거창한 일만 예측하는 건 아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법한 일, 누구나 한 번쯤 궁금증을 가졌을 만한 일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려고 애쓴다. 일례로 통계학자 제프 엘리스는 영국 심리학자 사이먼 무어와 함께 양말을 잃어버릴 확률을 예측하는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2024년 04호

    보면 산소 연구는 라부아지에의 산소 이론과 프리스틀리의 플로지스톤 이론의 경쟁의 역사이자, 라부아지에가 옳았음이 증명되면서 근대 화학을 연 상징적 사건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정말 과학적으로 라부아지에가 옳았고 프리스틀리는 틀렸기 때문에 경쟁에서 승리했던 것일까? 결론부터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

    수학동아 2024년 04호

    이 드넓은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사는 걸까? 이를 고민했던 과학자들은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밝히는 다양한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건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고안한 ‘드레이크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으로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지적인 외계 생명체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과학동아 2024년 04호

    지금이 한국 정치의 ‘특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3년 R&D 예산 삭감 발표는 한국의 역사 안에서 과학기술 분야가 미끄러지게 만들었죠.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과 체제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결과물을 내보이며 일을 하는 것이 익숙한 제가 국민들의 한 발짝 앞에서 그 역할을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