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2019년 12호

     이호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에는 거대한 냉장고 4대가 놓여 있다. 냉장고 안에는 음식 대신 이차전지가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이 교수는 “한번 쓰고 버려야 하는 일차전지와 달리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2019년 11호

     오랜만에 과학기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드라마가 나왔습니다. tvN에서 절찬리 방영 중인 ‘날 녹여주오’는 24시간 냉동인간 프로젝트에 참여한 남녀가 20년 후 깨어난다는 아주 실험적인 줄거리인데요. ‘실제 있을 법한 SF다’와 ‘말도 안 되는 코미디다’, 이렇게 의견들이 엇갈리더라고요. 그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2019년 09호

     마비될 마(麻), 매울 랄(辣). ‘혀가 마비될 정도로 맵고 얼얼한 맛’이라는 뜻의 마라. 대륙의 매운맛, 마라가 한국을 강타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혈중 마라 농도’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마라를 꾸준히 먹어 마라에 중독됐다는 뜻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에 빗댄 표현이다. 청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

    과학동아 2019년 09호

     탄소는 가장 많은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원소다. 미국화학회가 운영하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등록 번호’에 등재된 화합물 중 탄소 화합물이 대략 90%에 이른다. 그런 탄소는 많은 역할을 맡고 있다. 생명, 문명, 별빛, 이 모든 곳에 탄소가 필요하다. 물론 화석연료와 합성소재의 무분별한 사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

    과학동아 2019년 08호

    불치병을 고칠 수 있는 미래를 기다리며, 냉동 인간 190여 명과 냉동 반려동물 30마리를 액체질소 탱크 안에 보관하고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냉동 인간을 만들 때 가장 큰 기술적 장애물인 세포가 얼면서 발생하는 세포 조직 파괴를 최소화할 방안을 연구 중이다. 어쩌면 머지않아 병에 걸리면 냉동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2019년 07호

    외계생명체는 존재할까. 이 질문에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아마도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우주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광활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코스모스’의 저자로 유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이렇게 말했을까. “이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엄청난 공 ...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06호

    사건의 단서를 찾으러 다니던 꿀록 탐정에게 제비 한 마리가 날아오며 말했어요.“꿀록 탐정님! 저희 마을을 구해주세요!”“또, 무슨 일이 생겼나요?” 꿀록 탐정이 제비를 진정시키며 묻자, 제비가 울먹이며 말했어요. “마을의 건물이 부서지고, 농사가 잘 안돼 식량이 부족하답니다. 게다가 행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2019년 05호

    가장 처음의, 그리고 가장 간단한 무언가는 언제나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원소, 그중에서도 현재까지 발견된 118개 원소 중 원자번호 1번을 차지하고 있는 수소 역시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세상을 바꾼 원소’로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수소 발견,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

    과학동아 2019년 03호

    임신 성공률은 난소 나이에 따라 절대적으로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자궁은 40~60대에도 가임력(임신 능력)이 비교적 잘 보존되므로, 이론상으로는 20대에 난자를 채취해 얼려두면 폐경이 된 60대에도 외부에서 호르몬을 투여하면 임신이 가능하다. 20대의 ‘신선한’ 난자를 미래를 위해 냉동할 수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

    과학동아 2019년 02호

    냉각제로 액체헬륨을 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서 교수는 “임계온도를 높여 냉각제를 액체질소로만 대체해도 의료 장비나 전력 저장 장비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고온 초전도체의 원리를 밝혀 임계온도를 높이는데 일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