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12호

    재생돼 중요한 과학적 순간을 포착하고 연구를 쉽게 설명한다”고 썼지요.‘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2019년 가장 아름다운 과학 GIF’로 선정된 것 중 하나는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의 세포생물학자 앤드루 무어 박사후연구원이 만들었어요. 당시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일하던 무어 ...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

    수학동아 2020년 09호

    유희 수학에 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습니다. 가드너는 미국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수학 칼럼을 연재했는데, 거기에 콘웨이가 고안한 게임을 자주 소개했습니다. 1967년 새싹 게임, 1970년 라이프 게임, 1972년 하켄부시, 1974년 천사와 악마 문제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라이프 게임을 ...

  •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볼'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볼'

    수학동아 2020년 06호

    신념을 지키며 오클랜드를 승리로 이끌었어. 결국 2002년 오클랜드는 20연승을 기록하며 아메리칸 리그에서 가장 많은 연승을 이뤘어. 어때? 나와 함께 야구의 낭만을 느껴보지 않을래?   머니볼은 나도 정말 재미있게 본 영화야. 오클랜드의 부단장인 피터 브랜드는 정말 인상 깊은 캐릭터였어. ...

  •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

    수학동아 2020년 03호

    1984년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프레드 그루엔버거는 미국의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어떤 자연수로도 대칭수를 만들 수 있는 알고리듬을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13은 알고리듬을 따르면 13+31=44이므로 대칭수가 됩니다. 64는 어떨까요?64+46=110으로 대칭수를 만들지 못하지만, 한 번 더 과정을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

    수학동아 2020년 02호

    수학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나 봅니다. 그러다 1972년 미국 대중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칼럼을 포함한 6개의 출판물에 등장하며 널리 알려지게 됐습니다 ...

  • [맛있는 수학] 마틴 가드너가 사랑한 원숭이와 코코넛 문제

    [맛있는 수학] 마틴 가드너가 사랑한 원숭이와 코코넛 문제

    수학동아 2019년 07호

    놀이 수학의 대가로 알려진 사람입니다. 가드너는 미국의 대중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1956년부터 1981년까지 수학 게임에 관한 칼럼을 연재했는데, 이때 수많은 수학 퍼즐을 직접 내거나 이미 있는 문제를 소개했습니다. 문제란 문제는 다 알았을 것 같은 가드너에게 어느 날 아들이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2019년 07호

    패턴을 만드는 ‘라이프 게임’을 만들었는데, 1970년 미국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라이프 게임이 소개되면서 널리 알려졌거든요. 밀린코비치 교수는 제 피부에 있는 비늘 하나하나를 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때 칸의 상태는 초록색, 검정색 두 가지로 나뉘죠. 제 피부를 보면 보통 ...

  • 통계로 보는 방탄소년단의 피 땀 눈물

    통계로 보는 방탄소년단의 피 땀 눈물

    수학동아 2019년 03호

    BTS가 처음이다. 이로써 세계적인 3대 음악 시상식인 빌보드 뮤직 어워드, 그래미 어워드,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 모두 초청받으며 BTS는 글로벌 가수로서의 면모를 공고히 했다. 한국인 최초의 빌보드 200 차트 1위, 빌보드에서 컴백한 첫번째 아시아 가수, 한 달간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리트윗된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

    과학동아 2019년 02호

    구분할 수 있는 수준이다. 데일리 수석연구원은 2017년 12월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과의 인터뷰에서 “양계장 주인들은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뭔가 불편하다는 걸 알아채지만, 정확히 무엇 때문인지는 몰라 답답해했다”며 “닭이 처한 상황에 따라 소리의 진동수와 진폭, 세기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

    과학동아 2019년 01호

    5.1125 mm)를 채택하고 있다.  네이처그룹이 발행하는 173년 전통의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이보다 가로세로를 1~3mm 늘린 판형(203.2×266.7mm)을 쓴다. 전체가 92쪽으로 부피가 작아 잡고 읽기 편하다. 판형의 교체는 단순히 모양이나 휴대 편이성의 변화를 뜻하지 않는다. 판형을 바꾸는 것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