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숲을 지키는 수호신을 찾아라!

    캐나다 숲을 지키는 수호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13호

    사용했단다. 잠깐! 인디언은 잘못된 말이라고? 인디언 또는 아메리카인디언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에요. 미국이나 캐나다를 발견한 백인들이 인도의 일부로 착각해서 이 곳에 살던 사람들을 인디언이라고 불렀던 거지요. 그래서 캐나다에서는 인디언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원주민(First ...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에코 투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에코 투어

    과학동아 2010년 11호

    강물’, 토론토는 ‘약속의 장소’를 뜻하는 인디언 말에서 따온 것이다.동물 모습으로 ... 수십 개다.좀 더 노련한 녀석들도 있다. 아메리카너구리(Procyon lotor )는 서너 마리가 떼를 지어 ... 동물과 더불어 자연 속에서 살아가려는, 캐나다 인디언들과 현재 그곳을 지키는 사람들의 마음 덕분이다. ...

  • 블루베리, 베리 굿!

    블루베리, 베리 굿!

    과학동아 2009년 06호

    열매가 익는데 마치 흑진주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것 같다. 블루베리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즐겨 먹었는데 이때 이미 민간요법에 쓰였다고 한다. 블루베리가 농업과수로 개량된 건 불과 100여 년 전이다. 1920년대 미국에서 첫 육종품종이 나왔고 그 뒤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 사과나 배 같은 ...

  • 다시 보는 현대판 비글호 항해기

    다시 보는 현대판 비글호 항해기

    과학동아 2009년 02호

    태평양으로 가기 위한 길목인 마젤란 해협, 남아메리카 해안선, 호주 등을 조사하는 일이 비글호의 ... 화석을 채집했으며 큰 지진을 경험하고 인디언 무덤을 뒤져 고고학 자료도 모았다. 알코올에 ... ‘불의 나라’라는 뜻인 티에라 델 푸에고는 남아메리카 남단 마젤란해협에 있는 섬으로 한때 ...

  •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2008년 12호

    보석이나 희귀석을 손안에서 주무를 수 있고, 아프리칸터번, 사모아고둥, 인디언고둥, 갈색황제가리비, 비너스빗, 부처님손조개 같은 특이한 조개껍데기도 ... 서로 같아 보이는데, 왜 각 섬의 핀치새와 육상 거북은 서로 다를까. 남아메리카의 레아류는 왜 아프리카의 타조와 그렇게 많이 닮았을까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2007년 01호

    봤을까 더욱 놀라운 사실은 북아메리카 인디언 유적의 그림에서 황소자리 ... 폭발했으며, 고대 중국인이나 아메리카 인디언이 보았을지도 모르는 초신성의 폭발 잔해를 지금 우리가 망원경으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이처럼 별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긴 흐름을 가지며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하고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20호

    통해 고대인들이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도 알 수 있다. 2200년 전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똥에서 DNA를 분석한 결과 쥐, 토끼, 물고기, 해바라기, 도토리 등 다양한 음식물의 흔적이 나타났다. 고대인들은 참식성도 좋았다.캥거루 똥으로 만드는 종이캥거루가 아름답고 향기로운 종이를 만든다고? 캥거루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09호

    걱정하지 마. 아시아·아프리카·유럽 대륙과 아메리카 대륙은 서로 바다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지. ... 이 곳이 빙하로 된 다리로 연결되어 있었어. 아메리카 인디언은 바로 빙하 다리를 타고 건너간 아시아 사람의 후손이란다. 빙하 다리를 건너 수많은 동물이 아시아에서 아메리카로 갔단다.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2006년 08호

    먼저 차지할 것인가 하는 총성 없는 전쟁이 날마다 일어나는 이유다.아메리카 대륙에서 원주민인 인디언이 무참히 도륙당하고 침입자는 광대한 땅에서 자원을 약탈하던 시절, 우리나라는 사색당쟁 가운데 양반 타령만 하고 있었다. 1876년 국제정세에 어두워 불평등조약을 맺어야 했던 강화도 ...

  • 약효 올리고! 부작용 내리고!

    약효 올리고! 부작용 내리고!

    과학동아 2006년 05호

    7세기 남아메리카, 말라리아에 걸린 한 인디언이 웅덩이의 물을 마시고 씻은 듯 병이 나았다. 웅덩이 주변 ‘키나키나’라는 나무의 퀴닌 성분 때문이었다. 이 소식은 스페인으로 전해져 말라리아 특효약이 탄생했다. 항생제 페니실린은 20세기 초 미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세균감염 실수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