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뉴스] 귓불에 대각선 주름 있으면 치매 위험 높아

    [과학뉴스] 귓불에 대각선 주름 있으면 치매 위험 높아

    과학동아 2017년 12호

    관심사였다. 그간 귓불 주름은 단순히 노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심장질환과 고혈압, 당뇨, 뇌졸중 등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꾸준히 보고됐다.이진산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서상원 서울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정상인 243명과 치매(알츠하이머, 혈관성) 환자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

    과학동아 2017년 09호

    생체시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연구하고 있다. 2013년에는 트웬티포가 루게릭병이나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에 관여하는 ‘어택신(ataxin)-2’ 유전자와 결합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올해 4월에는 어택신-2에 ... 사실을 확인해 ‘셀’의 자매지인 ‘몰레큘러 셀’에 발표했다. 임 교수는 “이런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

    과학동아 2017년 05호

    파킨슨병도 원인이나 치료법을 알지 못한다. 그런데 국내 과학자들이 이런 퇴행성 뇌질환의 비밀을 풀 실마리를 찾아냈다.임정훈 UN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 있는 유전자인 ‘어택신-2(Ataxin-2)’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밝혀냈다. 이 유전자에 ...

  •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

    과학동아 2017년 02호

    것을 발견했다. 티데글루십은 안전성이 이미 입증돼 치매 환자의 신경퇴행 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시험에서 사용하는 약물이다.연구팀은 드릴로 쥐의 치아에 구멍을 뚫은 뒤,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콜라겐 스펀지에 소량의 티데글루십을 넣고 구멍에 발랐다. 그 결과 새로운 상아질이 6주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

    과학동아 2016년 08호

    돌연변이가 생겼을 때 어떻게 자폐증과 같은 신경발달장애나 루게릭병 같은 퇴행성질환이 유도되는지 알 수 없었다”며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셀’ 6월 30일자에 실렸다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2016년 07호

    동거는 불편하다. 에너지 공장에서 내뿜는 불쾌한 매연은 퇴행성뇌질환을 유발하며, 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정상세포 사이를 파고들어 ... 연구해야 한다는 뜻이다.미토콘드리아 속 노화와 뇌질환의 열쇠진핵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내는 에너지(ATP) 덕분에 ... ’라고 불리는 이 불청객은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

    과학동아 2016년 07호

    아닌 지구에서 조사한 자료를 봐도 다양한 차이가 나타난다.예를 들어 심혈관계 질환은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7~10년가량 늦게 나타난다. 발병률과 사망률도 여성이 훨씬 ...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에 저항성이 높은 반면, 류마티스관절염 같은 자가 면역질환에 더 많이 걸린다. 또한, 여성은 폐경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2015년 12호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라져 뇌의 부피가 줄어든다.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가 작아지는 현상이 뚜렷하다. 해마의 부피를 측정하면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찍은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

    과학동아 2015년 12호

    운동기능에 문제를 일으켜 결국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국내에도 8만 명이 넘는 환자가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 ‘뇌’ 10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주인공은 진병관 경희대 의대 교수와 남진한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2014년 03호

    박사가 만든 만능줄기세포다. 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하면 치료가 불가능한 퇴행성 신경질환을 치료할 수 있지만, 아직 한계가 많아 쓰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스탭세포는 아주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데다 실용화도 훨씬 쉬워 보인다.복제배아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장점만 합쳤다지금까지 만든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