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

    수학동아 2024년 02호

    발견한 50번째로 추정되는 메르센 소수보다 150만 자릿수가량 크다. 20년 넘게 수만 번의 시도를 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GIMPS 사용자도 허다하다. 4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은 수학자  ‘축하해요, 존! (당신이 발견한 수는) 새로운 메르센 소수(확률 99.999%)이거나 버그(확률 0.001%)입니다.’ 2017년 미국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

    수학동아 2024년 02호

    쌍둥이 소수 추측에 접근하는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1년 넘게 이것저것 시도했는데 갑자기 아이디어가 떠올라 좋은 결과를 냈다.  당시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장 교수의 논문을 보고, 메이나드 교수는 매우 흥분했다고 한다. 같은 연구가 같은 시기에 큰 발전이 일어나는 것은 매우 ...

  • [가상 인터뷰] 중세 바이킹, 현대인처럼 충치 치료했다

    [가상 인터뷰] 중세 바이킹, 현대인처럼 충치 치료했다

    과학동아 2024년 02호

    충치를 치료했나요?충치가 흔했다 보니, 우리도 충치의 아픔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어요. 치통이 너무 심할 경우에는 치아의 머리인 치관부터 신경이 분포한 치수까지 깊게 구멍을 뚫었죠. 이 방법은 지금 여러분이 살고 있는 시대의 충치 치료 방법과 같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

  • ‘혹등언어’로. 외계 생명과 대화를 꿈꾸다

    ‘혹등언어’로. 외계 생명과 대화를 꿈꾸다

    과학동아 2024년 02호

     외계 지적 생명체가 실제로 있다면, 우리는 그들과 대화를 할 수 있을까요? 미국의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는 언젠가 올 수도 있는 ... 외계 생명과 대화를 꿈꾸다Part1. 외계인 만날 ‘그날’ 위해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Part2. 거기 누구 없소?  외계 생명에게 말을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

    과학동아 2024년 02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AI 알고리즘으로 고래 외의 또 다른 동물들의 소리를 해석하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미국의 ‘지구종프로젝트(Earth Species Project)’는 컴퓨터과학자이자 엔지니어인 트위터(현 X) 창립 멤버 브릿 셀비텔과 파이어폭스 설계자 중 한 명인 아자 라스킨이 AI를 활용해 동물의 소통을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2024년 02호

    논문에 그는 ‘이 가설은 엄밀한 증명을 거쳐야 한다. 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증명을 시도해 봤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지금 이 문제가 현재 연구하는 문제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자세한 증명은 잠시 미루도록 한다’라고 적었다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2024년 02호

    아기는 넘어지기를 반복한다. 넘어지면 아프다. 넘어지지 않으면 좋다. 이에 따라 수많은 시도를 반복하며 부정적 피드백은 피하고, 긍정적 피드백을 추구해가며 넘어지지 않을 최적의 전략을 터득한다. 하운드는 이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상에서 겪었다. 컴퓨터로 가상 환경을 구현해두고,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

    수학동아 2024년 02호

    다니엘 베르누이, 라이프니츠, 아브라암 드무아브르 등 위대한 수학자들이 문제 해결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고 이야기하며 문제를 풀어보라고 권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는 ‘바젤 문제’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오일러는 1735년 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일약 유명 인사가 됐다.   갑자기 등장한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과학동아 2024년 02호

    찾고 있다. 아직 갈 길은 멀다. 김 책임연구원은 “로봇 작업 모델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시작단계”라며 “상용화에 도달한 AI와 비슷한 수준으로 가기 위해선 더 높은 임무 수행률과 외부 실세계와 보다 정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로봇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

    과학동아 2024년 02호

    걸 상대를 찾아다닐 건가요? 그동안 외계 지성체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두 가지가 시도됐습니다. 첫 번째는 누군가의 흔적을 찾기 위해 전파에 귀 기울이는 방법,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입니다. 최초의 SETI 프로젝트는 프랭크 드레이크 당시 미국 코넬대 천문학과 교수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