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2013년 07호

    최종 승인을 받는다면 이후 다양한 GM 어류 역시 승인될 것이다. 아쿠아바운티의 무지개송어와 틸라피아를 비롯해 미꾸라지, 곤돌메기, 잉어 등 다양한 GM 어류가 대기하고 있다.우리나라에 수입된 식용 GM 농산물은 2011년 187만 5000t이었다. 모두 옥수수와 콩이다. 수입되고 있는 식용 옥수수 가운데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2012년 13호

    가지 않는 민물고기야. 몸 옆면에 얼룩무늬가 있고 물벼룩 등 작은 동물을 먹고 산단다. 송어와 비슷한 열목어는 은색으로 몸 길이가 60~70㎝나 되는데 주로 수온이 낮은 산골짜기 시냇물에 살지. 생긴 게 상어랑 비슷해 이름도 비슷한 돌상어(10%)는 한강과 임진강, 금강에 살고, 칠성장어(10%)는 동해로 ...

  •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

    과학동아 2012년 09호

    따르면, 발생 과정인 부화가 문제지.”수의사의 말을 들어보니, 온도와 산소를 조절하면 송어나 연준모치 같은 물고기는 머리가 둘 달린 채로 태어날 수 있다. 영국 풀뱀은 퇴비가 분해되면서 내는 열을 좋아해 퇴비 더미에 알을 낳는다. 그런데 퇴비의 온도가 40℃를 넘어가면 대부분 알이 죽고,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2012년 02호

    씨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수질을 감시한다”면서 “자주 쓰는 동물이 물벼룩과 송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눈으로 수를 셀 수 있고 수질이 조금만 바뀌어도 헤엄치는 수위나 패턴이 달라진다. 그래서 하드호프 정수장에서는 물벼룩이 헤엄치는 모습을 컴퓨터로 실시간 감시하고 조금이라도 ...

  •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과학동아 2011년 07호

    물고기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널을 만들었다. 그리고 같은 크기의 어린 금빛회색송어들이 떼지어 터널 안을 헤엄치게 한 다음 물고기의 신진대사율, 최대신진대사율, 그리고 산소호흡능력과 최고 속력을 측정했다. 신진대사율은 물고기가 3일 동안 자유롭게 활동하며 소모한 열량으로 ...

  • 물고기는 ‘이온’을 호흡한다

    물고기는 ‘이온’을 호흡한다

    과학동아 2010년 02호

    부분 모두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브라우너 교수는 “배아 상태의 송어는 호흡을 몸 전체(피부)로 하다가 점차 성장하면서 아가미가 형성된다”며 “아가미가 덜 발달한 어류 조상들도 피부로 호흡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어류가 진화하면서 아가미 구조가 ...

  • [환경학]유출된 기름띠 없애려다 물고기 잡는다

    [환경학]유출된 기름띠 없애려다 물고기 잡는다

    과학동아 2009년 04호

    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독성물질인 탄화수소가 들어 있다.연구팀이 무지개송어로 실험한 결과 세척제를 뿌리지 않은 물에서 나타난 탄화수소 치사량은 40~200mg/L였다. 하지만 세척제로 기름을 분산시킨 물에서는 치사량이 8mg/L으로 뚝 떨어졌다. 세척제가 뿌려진 물에서는 상대적으로 ...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2008년 22호

    고유종인 버들치, 금강모치와 함께 산천어가 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산천어는 어린 송어가 바다로 가지 못하고 민물고기로 남은 것인데 원래 경상북도 울진 북쪽, 그것도 백두대간 동쪽 지역에만 사는 어류였다. 그런데 산천어를 키우던 사람들이 양식한 산천어를 자연에 그대로 방류해 원래는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2008년 10호

    생긴 관중은 화석에서나 볼 수 있는 원시 양치류 형태로 바뀌어 자랐고 무지개송어는 아래턱이 툭 튀어나온, 유럽에서는 150년 전에 멸종한 야생형으로 바뀌었다. 옥수수 역시 대 하나에 12자루까지 달려 야생 옥수수를 연상시켰고 밀은 덤불처럼 자랐다. 도대체 전기장은 씨앗이나 알에게 어떤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2007년 12호

    무구조충) 등 생김새와 사는 형태에 따라 나눠져 있단다. 긴촌충은 충분히 익히지 않은 송어나 연어, 농어를 먹었을 때, 갈고리촌충은 돼지고기를 덜 익혀 먹었을 때, 민촌충은 소고기를 덜 익혀 먹으면 걸릴 수 있지. 하지만 회충처럼 나도 요즘은 찾아보기 힘든 기생충이 됐어. 왜 이런 곳에 있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