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1992년 04호

    퍼스컴의 기억용량을 단숨에 2KB로 줄인다'(J일보, 3월5일). 이런 기사들은 모두 무지의 소산이다.미켈란젤로바이러스는 결코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파괴하지 않는다. 이 바이러스는 컴퓨터를 처음 켜는 일을 담당하는 디스크의 부트섹터(boot secter)라는 곳에 들어와 숨어있다가, 3월 6일이 되면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1991년 11호

    핵심물질인 플루토늄(Pu)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이다.이 맨하탄계획의 소산물은 그 위력을 곧 세계에 과시했다. 그것은 인류에게 원자력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두개의 원자탄이 바로 그것이다. 상용 무기로부터 출발한 원자력이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1991년 10호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동시에 그는 다 빈치의 작품이 보여주는 신중함은 왼손잡이 소산임을 일깨워 주었다.미켈란 젤로도 왼손잡이  위대한 조각가인 미켈란젤로도 왼손잡이였다. 일설에 따르면 시스틴성당의 벽화를 완성시킬 때 너무 힘들어서 왼손과 오른손을 번갈아 사용했다고 한다. 화가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1991년 02호

    하게 된다.레이다의 발명은 전자기학의 소산물이며, 원자폭탄은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때에 가장 연구가 활발했던 분야가 레이다를 개발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분야와 핵무기 개발을 위한 원자핵 연구분야다. 2차대전이 끝나게 됨에 따라 원자핵 연구는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1990년 11호

     인쇄기술은 상감청자 기술과 함께 고려기술의 발전을 대표하는 창조적 전통의 소산이다.고려의 목판인쇄기술은 대규모의 대장경 주판(雕板)사업으로 특징지어진다. 고려의 기술자들과 불교적 신앙심이 두터웠던 고려귀족들의 손과 마음을 통해 이루어진 인쇄기술은 무척 높은 수준이었고 규모가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1990년 10호

    차지하는 일본책만해도 메이지유신 이래 꾸준히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온 일본사회의 소산입니다. 60년대 들어서야 과학기술에 투자를 시작한 우리사회의 수준에 그들의 것을 여과없이 적용하기는 무리지 않겠습니까"라고 반문한다.번역서의 문제는 문화적 풍토나 교육방법, 과학수준차에서 오는 ...

  • 세계인쇄사의 원년을 바꾸다

    세계인쇄사의 원년을 바꾸다

    과학동아 1990년 10호

    벌 만들어서 새로 쌓는 탑마다 넣을 수 있었다. 신앙의 표상으로 탑안에 새로운 기술의 소산이 봉안된 것이다.신라인들, 특히 기술자들은 불교국가를 이상으로 하는 신라왕조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그들에게 축적돼 있던 모든 기술을 하나로 해서 그 맑고 진실한 기도문을 새로운 모습으로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1990년 07호

    국제무대에 내세울 것이 별로 없다는 현실과 마찬가지로 지극히 당연한 일본문화의 소산이다.)VTR 자동차 낚시대 안경테를 세계에서 가장 잘 만드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1백년전에 이미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처리도구인 한글을 발명했던 우리의 창조적 기술능력을 제대로 살려서 소프트웨어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1990년 06호

    새경지를 연 커다란 비약이었다. 고려청자의 제조는 그야말로 고도로 승화된 기술의 소산이기 때문이다.그러나 고려청자가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 아직 확실치 않다.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아직 꽤 남아 있는 것이다. 우리는 청자의 고향이라고도 불리는 전라남도 일대, 특히 강진 등지에서 ...

  •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유리를 둘러싼 한·일 공방

    과학동아 1990년 04호

    아마도 중국에서 수입된 유리라고 했을 것이다. 아무튼 그들은 그런 선진적인 기술의 소산이 한국에서 이루어졌다는 데 극히 회의적이었다. 한국의 기술은, 그들 생각으로는, 서역이나 중국보다 언제나 뒤떨어져 있어야만 정상이었다.이러한 견해에 대해 나는 늘 오류가 있다고 여겨왔다. 철기시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