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과학동아 2020년 05호

    분야에서는 색 순도와 열 안정성 등을, 태양전지에서는 광전환 효율을 말한다.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카드뮴이나 납 같은 중금속이 경금속인 인듐보다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며 “현재 납으로 만든 퀀텀닷 태양전지의 최고효율이 16.6%인 반면, 3-5족 퀀텀닷으로 만든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2020년 04호

    최상급에 다다른 수준”이라고 말했다. 심도카메라용 이미지 센서를 연구 중인 최재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나노 공정이 고도화될수록 이미지 센서의 화소와 정보처리 능력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며 “줌 성능을 향상시킬 기술적인 여력은 많지만, 소비자의 수요에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

    과학동아 2020년 04호

    것이다. doi: 10.1103/PhysRevLett.92.186601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에서 퀀텀닷을 연구한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이는 다중 여기자 생산(carrier multiplication)이라는 물리 현상”이라며 “퀀텀닷을 이용하면 태양전지가 마치 두 개의 태양에서 빛에너지를 받아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것과 같은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과학동아 2020년 04호

    말했다. 이에 대해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는 “태양전지를 플라스틱 소재로 가볍게 만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나무 위나 건물의 지붕 같은 제한된 면적에 태양전지를 여러 개 설치하려면 무게가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

    과학동아 2020년 03호

    각각 한 편씩 실렸고, 나는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만 30세가 되던 2013년 성균관대 교수로 임용됐다. ‘교수가 되겠다’던 고등학교 시절의 꿈을 이룬 것이다. 물론 이와 동시에 새로운 도전도 시작됐다.  알파고와 이세돌이 이끈 인공 뇌 연구나만의 연구실이 생기자 이전 연구들과 겹치지 않는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2020년 02호

    러시아 과학자들은 이를 ‘양자구속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라고 명명했다.배완기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기존 반도체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소재의 조성이나 구조에 따라서만 결정됐다면 퀀텀닷이 등장하면서 크기라는 변수가 하나 더 생긴 것”이라며 “기존의 반도체 소재들을 더 ...

  • 초등토론배틀, '게임 중독' 질병인가?

    초등토론배틀, '게임 중독' 질병인가?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8호

    안녕! 나는 게임을 한 판만 더 하고 싶은 판다 ‘한판다’야. 5월 25일 세계보건기구가 ‘게임이용장애’, 일명 ‘게임 중독’을 질병으 ... 한국뇌연구원 뇌발달질환 연구그룹 선임연구원), 이재원(이지브레인 원장), 장춘곤(성균관대 약대 교수),하지현(건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2019년 12호

    되네요)’ 등 실제 축구 해설가 같은 화법을 구사하며 사실감을 높였다. 우승은 광운대, 성균관대, 미국 퍼듀대 등 6개 대학 연합팀인 ‘꼬부기’ 팀이 차지했다. 꼬부기 팀은 경기상황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면서 중간중간에 ‘경기가 60초 남았습니다’라든지 ‘선수 3명이 한 곳에 몰려있으면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

    과학동아 2019년 11호

    미생물학을 전공했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에서 22년간 근무했다. 현재 성균관대 과학수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법과학, 법유전학 및 DNA 감식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15건의 국내 및 국제 특허를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

    과학동아 2019년 10호

    로봇 분야를 연구했던 만큼 AI 구동 프로세서 등 하드웨어 연구에도 강점이 있다. 이지형 성균관대 인공지능학과 학과장은 “AI 자체를 개발하는 연구도 중요하지만, 고성능 AI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도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예를 들어 2016년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을 펼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