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후변화 대응, 다시 전진할 때”

    과학동아 2023년 01호

    의견을 결집했다. 또 이 의견에 대한 국제적인 비정부기구(NGO)들의 지지를 끌어내 선진국을 압박했다. 미국과 유럽은 그동안 손실과 피해를 다룰 별도 펀드를 창설하는 문제에는 소극적이었지만, 해수면 상승 등 개도국도서국들의 피해 앞에서 해결책 마련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데 공감했다. 이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2023년 01호

    생태발자국이 개발도상국가의 그것보다 훨씬 크다면, 아프리카 국가의 출산 제한보다는 선진국의 소비 제한이 지구의 생태에 더 이로울 지도 모른다. 내털리 카넴 유엔인구기금(UNFPA) 사무총장이 말했듯, “인구가 너무 많아 자원이 부족한 상황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인구 자체가 두려움의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누리호 개발 연구원 특별 취재기

    [출동! 어과동 기자단] 누리호 개발 연구원 특별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22호

    이루고 싶은 목표는 무엇인가요?유 첫 발사체인 누리호를 성공적으로 개발했지만, 해외 선진국 발사체보다는 아직 성능이 부족합니다. 앞으로는 더 뛰어난 차세대 발사체를 만들 계획이에요.고 결국은 사람이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우리 연구원들은 곧 은퇴할 텐데, 우주발사체 연구를 다음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

    과학동아 2022년 12호

    모두를 위한 과학이 새로운 지혜가 돼줘야 한단 뜻이다.“과학기술과 과학지식이 선진국을 넘어 경제개발국으로 이전돼야 하나요?” 급진적일 수 있는 질문에 가프니는 한 마디로 대답했다. “네.”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는 기후변화가 낙후된 사회를 더 발전시키기 어렵게 만든다는 사실을 짚고 ...

  • [인터뷰] 집값, 당장은 안 변하더라도

    [인터뷰] 집값, 당장은 안 변하더라도

    과학동아 2022년 10호

    재해 피해가 금방 복구되는 상황이라면 가격이 원상 회복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선진국 중 자연재해가 집값에 영향을 미친 사례가 있는지 그렇다. 미국 비도시 지역의 사례가 있다. 미국은 한국보다 비도시 지역에 사는 사람의 비율이 높다. 비도시 지역은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돼 있지 않아서 ...

  • [특집] 어린이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하여!

    [특집] 어린이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하여!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9호

    더 행복해질 것”이라 말했답니다.●OECD : ‘경제 협력 개발 기구’로, 전 세계 38개 선진국, 개발도상국이 가입한 국제 기구.   ●인터뷰전이수(어린이 동화작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는 세상이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일 것 같아요”   Q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저는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

    과학동아 2022년 09호

    사회다. 닷컴버블 시대와는 환경이 완전히 달라졌다.물론 악재는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선진국에서 풀었던 자금은 인플레이션을 불렀다. 금리는 오르고 증시는 하락하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만 기름, 식량 등 수많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고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2022년 08호

    즉, 우리나라는 5개의 투표권을 가지지요. 더불어 국가의 전반적인 수학 수준이 높아져 선진국 위치에 섰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지난 20년간의 놀라운 성과 한국 수학의 발전을 보여 주는 여러 지표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로 세계수학자대회(ICM) 강연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페인 ...

  •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

    [시사과학] 항생제 중독에 빠진 강 제 2의 팬데믹 일으킬까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6호

    아시아, 남아메리카 등은 다른 지역보다 약물 오염이 높게 나타났어요. 하수 처리 시설이 선진국에 비해 열악해서 의약품 폐기물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세계에서 약물 오염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파키스탄의 라호르였습니다. 중윗값보다 무려 47배나 높았죠.우리나라의 한강 또한 ...

  • [특집] 위기의 원인은 공급, 수요, 배분

    [특집] 위기의 원인은 공급, 수요, 배분

    과학동아 2022년 05호

    올리고 있다. 넓은 영토와 함께 선진화된 기술력을 갖춘 덕이다. 반면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으로부터 곡물을 수입하고 있다. 최근 식량 위기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실제 극심한 식량 위기가 찾아올지는 여전히 논의 대상이다. 일부에서는 현재의 식량 위기가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며, 기술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