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2021년 02호

    몇 년 전 한 KAIST 학생이 직장인이 겪고 있는 ‘넵병’을 연구한 내용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큰 인기를 끌었다. 설문조사와 모의실험을 통해 ‘넵’을 일으키는 직장인의 감정을 분석한 나름 진지한 연구였다. “이게 이토록 진지할 일인가!” “지극히 KAIST답다”는 평이 나왔다. 이런 학풍 덕분인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

    과학동아 2021년 01호

    2000년대를 살아가는 자연과학자들에게는 이런 기회가 좀처럼 없었다. 단백질처럼 복잡한 생체분자의 세계를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그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고자 연구하는 필자 역시도 지적으로 흥분되는 혁신을 만날 일이 별로 없었다. 심지어 2013년 복잡한 분자 반응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분야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3호

     “어, 여긴가 보다!”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가 ‘악어와 해적 조심’이라고 적힌 표지판을 지나 작은 섬으로 걸어 들어갔어요. 오늘의 목적지는 네버랜드! 네버랜드의 주인공인 피터 팬이 이 먼 곳까지 두 탐정 콤비를 부른 것이죠. 저 멀리서 피터 팬이 날아오는 모습을 보고 꿀록 탐정이 손을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2020년 12호

    ▲ 인간 염색체(회색) 끝부분을 덮고 있는 텔로미어(흰색). 일반적인 텔로미어의 길이는 세포가 세대를 거듭하며 분열할수록 점차 짧아진다. U.S Department of Energy HumanGenomeProgram   “나의 시작에는 나의 끝이 있다 (In my beginning is my end)”  영국 시인 T.S. 엘리엇, ‘4개의 사중주’ 中 ‘텔로미어’는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

    과학동아 2020년 12호

    있는 힘껏 꼬리로 헤엄친 정자는 어둡고 축축한 자궁 안을 지나 난자에 도달한다. 정자는 마지막으로 남은 힘을 한 번 더 쥐어짜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막을 뚫는다. 교과에서 배우는 우리 모두의 역사다. 하지만 실제 우리의 과거는 이보다 훨씬 복잡다단하다. 최근 새롭게 알려진 사실도, 그간 잘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2020년 11호

     2020년 노벨생리의학상은 간암을 일으키는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까지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의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다.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은 C형 간염이라는 질병의 존재를 처음 발견한 공로, 마이클 호턴(70)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는 C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2020년 11호

    과거 SF 속 과학기술은 수십 년이 흘러 비로소 실현됐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성장이 한층 더 빨라진 지금 시대의 SF 속 과학기술은 현재의 과학기술과 궤를 같이한다. 이에 2010년대 SF 작품의 과학기술이 현실에선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비교해봤다. 작품은 ‘SF계 노벨상’이라 불리는 휴고상과 국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

    과학동아 2020년 10호

    받았다. 하지만 나노입자는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기가 어렵다. 생체분자 시료는 같은 종류라면 구조가 일정하지만 나노입자는 같은 반응으로 합성됐더라도 원자 수준에서는 배열 등 구조가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이다.마찬가지로 전자 단층 촬영도 나노입자 분야에선 활용하기가 ...

  • 기발한 연료 3총사

    기발한 연료 3총사

    과학동아 2020년 10호

    ◇ 보통난이도 |  2020 연료 삼총사  1st 줄기세포개구리 심장세포가 로봇을 움직이다 흔히 ‘살아있는 로봇’이라고 하면 SF 소설이나 영화에 나오는 인공지능(AI) 로봇을 떠올린다. 살아있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능력을 가진 로봇을 상상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 진짜로 살아있는 로봇이 있다. 세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2020년 09호

    오늘날 생명과학은 DNA에서 시작해 DNA에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NA를 토대로 생명의 비밀을 밝히고 DNA를 토대로 질병의 원인을 찾는다. 하지만 인간이 인간의 DNA를 해독하기 시작한 건 불과 40년 전이고, 모든 염기서열을 읽어낸 건 20년도 채 안 된다. DNA 해독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해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