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

    과학동아 2024년 04호

    발광식물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제가 개발한 발광식물 12종은 녹, 청, 적 등의 생체 발광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3단계의 과정만 거치면 모든 식물의 원하는 부위에서 빛이 나도록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어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

  •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4호

    중성이 돼요. 이때 중성에서 상이 발현되는 소가 반응해, 풍선껌이 초록에서 붉은으로 변하죠. 오리온은 신맛이 나는 ‘와우 아이셔’를 지난해 9월 출시했어요. 강정한 연구원은 “신맛을 내는 산 성분의 원료를 넣어 만들었다”고 밝혔어요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4호

    의 길쭉한 기둥 무늬가 함께 있었어요. 사람들은 보랏빛 띠를 ‘스티브(STEVE)’, 녹의 기둥 무늬는 ‘피켓 울타리’라고 이름붙였습니다. 스티브 같은 오로라는 당시 과학자들에게도 생소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오로라사우루스’라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스티브를 추적하기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과학동아 2024년 03호

    좀 더 확장하면 램지 수 문제가 됩니다. 비둘기집 원리 설명에서 남자, 여자 또는 옷 깔 등을 두 사람이 서로 아는 관계와 서로 모르는 관계(한쪽만 아는 관계도 포함함)로 바꾸면 되죠. 이처럼 수학은 작은 구조에 해당하는 논리가 좀 더 큰 구조나 더 일반적인 구조에서도 작용하는지를 연구합니다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2024년 03호

    집게가 플라스틱 집을 고르는 네 가지 이유를 추측했다. 우선, 플라스틱 껍질의 재질이나 이 암컷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 둘째, 플라스틱 껍질은 다른 재질보다 가벼워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 셋째, 해양 플라스틱에서 배출되는 황화디메틸이라는 화학 물질이 집게를 끌어들일 수 있다.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

    과학동아 2024년 03호

    프레임 하나하나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은하단속 암흑물질과 주변 가스의 흐름을 계산해 으로 정보를 표현했다. 인류의 역사 내내 과학과 예술은 우주를 주제로 교차한다. 그렇게 탄생한 아름다운 교차점들을 더 감상하고 싶다면 책 ‘코스미그래픽’을 읽어보길. 옆 페이지의 이벤트에 참여해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2024년 03호

    쉬운 어류는 성별을 바꾸고, 그렇지 않은 포유류는 다른 방법을 찾는 식입니다. 왠지 어하다고 여기는 독자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당연합니다. 지상에 발을 디디고 살아가는 인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자신이 관찰한 것들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니까요. 대부분 인간은 태어날 때 갖고 있던 ...

  • [SF소설] 엔딩의 발견

    [SF소설] 엔딩의 발견

    과학동아 2024년 03호

    그런 생각이 들었을까. ★★가 그날 정우의 오래된 후드를 입고 나왔기 때문인지, 보라 하늘이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것들을 생각하게 했기 때문인지, 비가 내리면 잠들었던 것들이 정말로 약간 깨어나기 때문인지 알 수 없었다. ★★는 평소보다 말이 느렸고, 자주 눈을 깜빡였고, 우주는 ...

  • [가상인터뷰] 소변이 노란색인 이유 밝혀졌다!

    [가상인터뷰] 소변이 노란인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3호

    이번 연구가 어떤 의미가 있을까?이미 125년 전 소변의 을 결정하는 우로빌린이라는 소가 발견됐지만 빌리루빈이 우로빌린이 되는 과정은 찾지 못했어.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발견한 덕분에 그 과정이 밝혀진 거지.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은 거의 모두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가지고 있지만, ...

  • [과학뉴스]노란 소변 속에 숨겨진 장내미생물의 비밀

    [과학뉴스]노란 소변 속에 숨겨진 장내미생물의 비밀

    과학동아 2024년 03호

    폐쇄, 황달 등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체내에선 빌리루빈을 ‘유로빌리노겐’이라는 무 물질로 전환해 소변으로 배출한다. 이때 전환되지 않고 남은 빌리루빈이 소변을 노랗게 만든다.그런데 빌리루빈이 유로빌리노겐으로 전환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그간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 전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