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08호

    돼요. 이 지점에 우리가 보는 상이 맺히기 때문에 거꾸로 된 작은 상을 보게 된답니다.볼록렌즈를 사용해 멀리 있는 것을 크게 보여주는 굴절망원경에는 물체에서 나온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대물렌즈와, 모인 빛을 꺾이도록 해서 크게 보이게 하는 접안렌즈가 쓰여요. 접안렌즈가 물체를 얼마나 ...

  • 즐겁게 놀다 보니 창의력이 쑥쑥!

    즐겁게 놀다 보니 창의력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24호

    케플러가 발명한 형태예요. 갈릴레이 망원경과는 달리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모두 볼록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이 뒤집혀 보인답니다. 대신 시야가 훨씬 넓어지지요.”과학동아천문대장님 설명이 귀에 쏙쏙! 천체망원경의 원리를 배운 뒤에는 이 망원경을 이용해 15m 거리에 있는 지름 2cm 정도의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21호

    모아 별의 상을 만들고 이상을 확대하여 관측하지요. 가정이나 소규모 천문대에서는 볼록렌즈로 만든 굴절망원경을 이용해요.이와 달리 천문대에 있는 큰 망원경들은 대부분 오목거울로 빛을 모으는 반사망원경이에요. 먼 곳의 별빛을 잘 모으기 위해서는 렌즈의 크기가 커야 하는데, 큰 렌즈를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12호

    기관에서 초음파를 내요. 이 초음파는 음향렌즈를 이용해 방향을 맞추지요. 그 원리는 볼록렌즈와 반대라고 생각하면 돼요. 먼저 빛이 모이는 렌즈의 초점은 소리를 만드는 음성입술에 해당돼요. 음성입술에서 만들어진 소리는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멜론’을 거쳐 물 밖으로 나가지요.멜론은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2015년 06호

    이런 좁은 시야각을 획기적으로 넓힌 사람은 미국의 광학자 에릭 호렛이다. 호렛은 1979년 볼록렌즈를 여러 층으로 설치해 시야 각을 120°까지 넓히는 광시야각확장기술(LEEP)을 개발했다. 1983년 LEEP를 적용해 만든 HMD를 쓰고 화면 정면에 있는 가상물체에 초점을 맞추면 주위 배 경이 느껴지지 않을 ...

  • [과학뉴스] 먼지 같은 존재? 우주먼지는 아냐

    [과학뉴스] 먼지 같은 존재? 우주먼지는 아냐

    과학동아 2015년 04호

    사이에 있는 성단 ‘아벨 1689’의 독특한 중력 현상 덕분에 가능했다. 아벨 1689의 중력이 볼록렌즈처럼 은하의 빛을 지구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 것. 왓슨 교수는 “관측한 은하는 빅뱅 후 7억 년 뒤에 만들어진 초기 은하”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3월 2일자에 실렸다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01호

    매우 놀라워요. 좋았어! 하찮게 생각했던 머글도 꽤나 쓸 만한 기술을 갖고 있군. 특히 볼록렌즈를 이용한 로체스터 망토가 아주 맘에 들어. 포터 녀석이 잘난 척하는 것을 보는 것도 이제 마지막이야. 나 드레이코 말포이도 이제 투명 망토를 가졌으니 해리 포터를 곯려 주러 가야겠어. 근데 잠깐, ...

  • 그들이 말했다,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

    수학동아 2015년 01호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고 해요.연구단은 빛을 플라즈몬으로 바꾼 뒤 볼록렌즈와 같은 장치를 거쳐 한 점에 모으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때 빛이 모이는 점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이 기술로 기존 반도체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장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빛 ...

  • 근시 vs 원시

    근시 vs 원시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20호

    뒤쪽에 상이 맺히기 때문에 생겨요. 그래서 원시인 사람은 빛을 한 곳으로 모으는 볼록렌즈 안경을 써야 하지요. 그러면 상이 더 앞쪽에 맺혀서 가까운 곳도 뚜렷하게 볼 수 있답니다. 원시는 나이가 들어 수정체에 탄력이 떨어지면 많이 생기기 때문에 ‘노안’이라고도 불러요. 초점이  맞아요,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2014년 08호

    struvei , 약 4억6000만 년 전)의 눈을 정밀하게 조사한 결과, 이 삼엽충의 수정체는 단순한 볼록렌즈가 아니라 두 겹의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두 겹 사이 면이 하위헌스의 렌즈와 똑같은 형태를 띠어 빛을 정확히 한 점으로 모을 수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