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

    과학동아 2022년 07호

    오픈했다. 본 채널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큰 반응이 없었지만 7개월 째부터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해 현재 구독자 3만 명을 달성했다. 기자일 때부터 오랜 꿈이었던 책도 출간했다. 그간의 유튜브 콘텐츠를 바탕으로 집필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과학 콘텐츠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

    과학동아 2022년 07호

    ‘그건네사정이고’는 개발에 성공한 100 큐비트 양자 컴퓨터가 제대로 작동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섭외된 일종의 들러리였다. 당시 우리 ‘그건네사정이고’는 버그 바운티 대회를 휩쓸며 제법 유명세를 구가했는데, 특히 팀의 리더 지수는 트위터에서 대단한 인기 몰이를 했다. 나는 팀에서 ...

  • [기획] 양자컴퓨터 본격적인 연구는 이제 시작!

    [기획] 양자컴퓨터 본격적인 연구는 이제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6호

    한쪽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옷장처럼 보이기도 했죠. KIST 양자정보연구단의 한상욱 단장이 오른쪽 상자의 뚜껑을 열자, 초록색 레이저가 번쩍이는 내부가 드러났습니다.“이것이 작년 12월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만든 ‘다이아몬드 양자컴퓨터’입니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로봇 군단의 탄생을 막아라!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로봇 군단의 탄생을 막아라!

    어린이수학동아 2022년 06호

    마누팩토 행성을 견학한다. 그러던 중 프로보와 똑같이 생긴 로봇들이 이상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는데....  딱지는 빨리 프로보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에 왔던 길을 되짚어 달려가기 시작했습니다. 아까 프로보와 헤어진 곳은 점검 구역이었습니다.‘270를 회전해서 아까랑 반대 방향으로’길이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과학동아 2022년 06호

    물, 암모니아가 있고, 행성 내부 가장 안쪽에는 암석과 얼음이 뒤섞여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천왕성과 해왕성도 서로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행성 전체를 놓고 볼 때 두 행성은 ‘거대얼음행성’이라는 세 번째 카테고리에 묶어 두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목성과 토성은 자세히 탐사한 적이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5호

    처음엔 아무런 규칙이 없이 복잡해 보이지만, 개미가 1만 번쯤 이동하면 하나의 규칙성이 보이기 시작해요. 이런 점 때문에 ‘랭턴의 개미’가 수학과 과학 연구에서 주목을 받았지요. 마인크래프트에서도 이 규칙성을 관찰하면 좋을 텐데, 개미의 역할을 하는 에이전트가 1만 번 움직이길 기다리는 ...

  • [한 장의 기후위기] 바다 위에 붙은 석회조류 '갯녹음', 바다를 덮은 하얀 사막

    [한 장의 기후위기] 바다 위에 붙은 석회조류 '갯녹음', 바다를 덮은 하얀 사막

    과학동아 2022년 05호

    삼는 어류 또한 먹이 부족에 시달린다. 수중에서 주로 발견되던 갯녹음이 뭍 위에서도 보이기 시작한 건 비교적 최근 일이다. 2021년 환경운동 시민단체인 ‘녹색연합’이 제주 조간대에서 갯녹음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0개 지점 중 198곳에서 갯녹음 현상이 발견됐다. 조간대의 갯녹음을 조사한 첫 ...

  • [20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

    [20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

    수학동아 2022년 04호

    나타내는 ‘K-안정성’이었어요. 그간 수학자들은 켈러 아인슈타인 계량의 존재성을 보이기 위해 해석기하학의 도구를 이용했는데, 쑨 교수와 연구자들은 대수기하학의 도구인 K-안정성에 눈을 돌린 겁니다. 그 결과 파노 다양체가 켈러 아인슈타인 계량을 가질 필요 충분 조건은 K-안정성임을 ...

  • [드론으로 본 제주] 제주의 역사를 품다

    [드론으로 본 제주] 제주의 역사를 품다

    과학동아 2022년 03호

    벌집이 떠오르지만, 절벽에서 바라보면 일부 휘어지거나 경사진 기둥이 잎사귀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화산에서 분출되는 용암이 해수면 근처에서 평행하게 흐른 결과다. ‘고려 목종 5년(1002년) 6월 제주 해역 한가운데에서 산이 솟았는데 산꼭대기에서 구멍 4개가 뚫리고 닷새 동안 붉은 물이 ...

  • [SF소설] 마지막 인사

    [SF소설] 마지막 인사

    과학동아 2022년 02호

    사람들은 인간이 인공지능을 학대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보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인공지능을 순수한 도구로 보면 오히려 사람들은 새로 산 휴대폰을 아끼듯이 자신의 인공지능을 애지중지한다.물론 그래도 인공지능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이 있다. 상관없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