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2008년 22호

    가장 높은 산이자 시작점이며, 한반도를 중국 대륙과 구분해 주는 압록강과 두만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니까요.백두대간은 강이나 바다에 의해 끊기지 않고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진 1400㎞의 산줄기입니다. 여기에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뻗어 나온 14개의 작은 산줄기들이 모여 한반도의 산을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2007년 10호

    ‘지큐’호가 일본 오사카 남동쪽 신구항을 떠나 난카이 해구로 향했다. 유력한 지진 발원지 중 하나로 추측되는 ‘메가스플레이’(megasplay) 단층에 지진관측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였다. 지큐호는 57일 동안 바다 위에 머물며 6개 지점에 해저 바닥에서 2~4km깊이로 구멍(시추공)을 10개 정도 뚫어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2007년 06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답니다. 황사가 더 심해지는 데는 중국의 황사 발원지가 점점 넓어지는 것이 큰 이유예요. 마구잡이로 숲과 초원을 훼손하면서 사막화가 더욱 빨라지고 있거든요. 식물이 줄어들면 뿌리가 품고 있던 물이 없어지는 데다 비가 조금만 와도 홍수나 산사태가 나는 ...

  • 하늘을 둘로 가른 번개

    하늘을 둘로 가른 번개

    과학동아 2007년 04호

    이번 사진전에서는 서릿발, 용오름, 쌍무지개 같은 다양한 기상현상, 폭설 현장과 황사 발원지 같은 자연재해를 담은 작품이 출품돼 기상현상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연재해에 대한 경각심도 일깨워줬다.응모한 536점 가운데 총 26점이 입상했으며, 수상작은 순회전시회를 통해 전국에 선보일 ...

  • 청계천(淸溪川)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2005년 10호

    흐르다가 왕십리 밖 살곶이 다리 근처에서 중랑천과 합쳐진 뒤 한강으로 빠진다. 발원지에서 중랑천과 합류 지점까지의 길이는 13.7km, 광통교에서 오간수문에 이르는 본류의 하폭은 10~30m였다. 이런 청계천이 역사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411년(태종 11년) 개천 사업 때다.하지만 600여년간 청계천은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2004년 10호

    두만강을 관찰한 뒤 세운 비문에서 양국의 국경선이 두 강의 본류가 아니라 북쪽에 있는 발원지임을 명확히 했다.1860년 중국은 그러한 사실을 부인하면서 조선인을 간도 지방으로 쫓아냈고 조선의 대표였던 이중하는 1863년 당빌의 지도를 바탕으로 제작된 일통여도를 증거로 제시했으나 중국은 이를 ...

  • 황사박사 전영신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2004년 05호

    전기는 끊어지고 아무리 창을 꼭꼭 닫아도 흙이 집안으로 마구 밀려 들어와요.황사발원지를 돌아보셨을 거 같은데요. 2-3년 전에야 처음 가봤어요. 그때 화장실 문제로 고생 좀 했죠.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흙먼지의 고향 사막들은 주로 평지예요. 사방이 뻥 뚫린 곳에서 일을 봐야 하는데 정말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2004년 04호

    달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입힌다. 기상연구소에서 운영하는 황사 사이트에 오면 황사 발원지, 이동경로, 황사 관측, 황사자료와 연구, 동영상 등 황사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만날 수 있다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2003년 03호

    관리함으로써 에이즈 확산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 생물 테러가 발생했을 때도 발원지가 어디인지, 무기로 사용된 병원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미국 라파에트시의 에이즈 사건은 이러한 계통유전학 분석의 효과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계기가 된 셈이다.그러나 한편에서는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2002년 04호

    물론 황사에 대한 지속적인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 2천2백만년 전부터 나타난 황사황사발원지인 중국 내륙 지역은 강수량이 적고 증발이 잘 되는 지역이다. 물론 이곳이 원래 이런 지역은 아니었다. 오래 전 인도판이 아시아대륙판에 충돌할 때 히말라야산맥과 티벳고원이 치솟으면서 중국 내륙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