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2020년 07호

    인유두종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virus)에 의해 발병하며 현재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암이다. 독일의 바이러스 학자 하랄트 추어하우젠은 HPV를 발견한 공로로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독일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받은 추어하우젠은 1966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부설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2020년 07호

    ‘스페인독감’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스페인독감은 1918년 발병해 이듬해 1919년까지 그야말로 전 세계를 마비시켰다. 당시 스페인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50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일부 섬나라에 소수로 모여 살던 원주민은 전멸했다. 제1차 세계대전 전사자는 약 100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2020년 07호

    뒤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맞춰 개발된다. 그런데 만능 백신은 이론적으로 감염병이 발병하기 전에 우리 몸이 예방할 수 있게 만드는 백신을 말한다. 이런 꿈 같은 백신이 과연 가능할까. 전문가들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쉽지는 않다고 예상한다. 만능 백신 개발이 쉽지 않은 이유는 간단하다.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2020년 07호

    거쳐 발병한다. 따라서 광견병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전구증상이 보일 때 백신을 맞으면 발병을 막을 수도 있다. 백신인 동시에 치료제인 셈이다.HIV의 경우 감염된 뒤 2~4주간 가벼운 감기 증상이 나타난 뒤 무증상 잠복기에 들어가는데, 이때부터 바이러스의 증식이 시작된다. 잠복기는 8~10년으로 매우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2020년 07호

    렘데시비르는 코로나19 환자의 회복 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단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병 14일차 치명률도 약 12%에서 7%로 낮췄다. 비록 아직은 코로나19의 완벽한 치료제로써 효능을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FDA는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렘데시비르의 긴급사용을 허가한 상황이다. ...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2020년 06호

    중 한 마리는 근육량이 부족해 척추 추간판 탈출증(흔히 ‘디스크’로 부르는 질병)이 발병했고 수술 도중 사망했다. 김정호 청주랜드 동물원 수의사는 “최근엔 호랑이의 활동량을 늘려주기 위해 일부러 먹이를 기둥에 올려놓고 유인한다”며 “올 가을 완공을 목표로 호랑이 사육 공간을 4배로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2020년 05호

    말했다.   암세포는 복제 과정 고장난 ‘불량세포’ DNA 복제는 암 등 질환의 발병과도 관련이 깊은 중요한 과정이지만 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세부 기작이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체항상성연구단은 모든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해 DNA와 같은 유전체가 항상성을 유지하는 비밀을 ...

  • 영화 ‘다크 워터스’로 본 과불화화합물의 진실

    영화 ‘다크 워터스’로 본 과불화화합물의 진실

    과학동아 2020년 04호

    예상했지만, 그가 연구결과를 받아본 건 7년이나 지난 뒤였다. 결론은 PFOA와 주민들의 암 발병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었다.현실에서 PFOA의 인체 유해성을 조사한 연구 중 가장 큰 규모는 2008~2011년 4년간 오하이오주 거주자 3만225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PFOA에 노출된 농도와 ...

  • "내가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된 이유"

    과학동아 2020년 04호

    처음 조사에 나섰던 사건은 2007년 전남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했던 장티푸스 집단발병 사건이었다. 해당 학교에서 총 78명의 장티푸스 환자가 발생했는데 감염원이 오리무중이었다. 처음에는 교내 급식 등을 통한 교내감염을 예상했지만, 지역사회에 전염된 바가 없었고 환자도 특정 학년에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2020년 03호

    검체를 수집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번 코로나19의 경우에도 발병 초기 모든 확진 검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이뤄졌다(1월 31일부터는 새로운 검사법이 도입돼 각 시·도의 보건환경연구원과 대학병원이 진단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에는 바이러스성 감염병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