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2007년 09호

    magnetar)다. 처음 발견됐을 때는 막대한 감마선과 X선을 쏟아내 ‘연질 감마선 연속발광체’(SGR) 또는 ‘변칙 X선 펄서’(AXP)라 불렸다. 마그네타는 달의 위치에 있다면 지구상의 신용카드가 전부 무용지물이 될 정도로 자기장이 강하다.1979년에 처음 발견된 마그네타는 지구에서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2001년 09호

    교수는 “파란색은 녹색, 빨간색과 조화를 이뤄 모든 색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분자발광체 연구에서 기본이 되는 색”이라고 이유를 말한다. 전기뿐 아니라 압력에도 빛을 발하는 이 소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뿐 아니라 각종 센서나 첨단 압전소재로 쓰일 수 있어 그 응용분야가 무궁무진하다. ...

  • 반딧불의 비밀은 산화질소

    반딧불의 비밀은 산화질소

    과학동아 2001년 08호

    초여름 반짝거리는 빛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는 반딧불이. 빛을 내 짝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때 반딧불이는 주기와 강도를 서로 ... 피의 흐름, 뇌의 학습과 기억과정을 조절하는 것처럼 반딧불이에서도 뇌의 신경신호를발광체에 전달하는데 산화질소가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2000년 08호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 불빛의 정체는 무엇일까. 바닷속 깊은 곳에 사는 어류는 흔히 발광체를 몸에 달고 다닌다. 목적은 여러 가지다. 먹이를 유인하기 위해, 천적에게 겁을 주려고, 짝을 유인하기 위해, 그리고 깊고 어두운 바다에서 단순히 길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렇다면 수면 바로 아래 ...

  •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과학동아 1995년 11호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색채에는 물체에 빛이 반사돼 나타나는 물체색 외에도 발광체의 색인 광원색이 있다. 광원색은 조명 컴퓨터 텔레비전의 화면색 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텔레비전 화면의 색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잘 기억하는 색채, 즉 얼굴색 ...

  • 철새 추적, 인공위성 전파발신기 동원

    철새 추적, 인공위성 전파발신기 동원

    과학동아 1995년 10호

    화학적 발광물질이나 발광 2극관을 부착, 보다 명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통 발광체는 전력 소비가 많아 수명이 짧고 관측거리가 최대 1백50m 정도이며 가시광선 때문에 동물 행동을 방해할 위험이 있다.7천-1천5백nm 파장의 적외선 빛은 대부분 동물에게 보이지 않는다. 사진필름과 텔레비전 ...

  • 에너지 60% 절약 가능한 이온램프 개발

    에너지 60% 절약 가능한 이온램프 개발

    과학동아 1995년 01호

    1백배 밝기를 낸다.퓨전 라이팅사는 이 전구를 개발하기 위해 처음에는 수은전구에 의한 발광체연구를 진행했으나 효율이 오르지 않았다. 그래서 수은 대신 유황을 사용,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황에 극초단파를 부딪혀 충격을 주면 빛을 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빛은 태양광선을 닮은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1993년 03호

    되면 내부 조명(상하 조명을 컴퓨터로 콘트롤)에 따라 건물자체가 여러가지 색을 띠는 발광체가 된다.지구관 지하로 들어서면 '대자연의 하모니'란 주제 아래 프리쇼가 전개된다. 프리쇼란 말 그대로 본 주제를 이해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 공해와 문명에 때묻지 않은 숲속공간을 연출해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1992년 12호

    경우 긴 파장은 스펙트럼에서 빨간색 쪽에, 짧은 파장은 보라색 쪽에 해당된다. 따라서 발광체가 우리에게서 멀어질 때는 빨간쪽으로(적색편이), 가까워질 때는 보라색 쪽으로(청색편이) 빛의 파장이 바뀌어야 한다.즉 허블은 먼 은하일수록 더 큰 적색편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었다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1991년 09호

    원인이라면 (천문학 용어로 설명해서)그 준성체의 불은 켜진 셈이다.그러나 만약 그 발광체가 별들의 형성에 의한 것이라면 그 성운은 어쩌면 점화의 첫 단계에 놓인 은하계인지도 모른다. 어쨌건 천문학자들은 매우 특이한 현상을 포착한 셈이다.부차적인 얘기이긴 하지만 그 빛나는 물체는 첫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