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2024년 02호

      Q. 내 용궁이 들키지 않고 이렇게 오래 버틸 줄은 몰랐어.  발견 당시 해남선은 썰물로 바닷물이 빠지면 일반 시민들도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곳에 있었어요. 하지만 그 지역에서 30~40년 동안 생활했던 주민들조차 선박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최근 방파제가 지어지면서 해양 환경이 변화해 ...

  •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23호

    쿠이비샨 모시펀하이입니다. 이곳은 우 교수님의 마음을 빼앗은 탐험지예요. 대원들은 바닷물이 빠지기 전까지 두 눈을 의심할 신기한 자연 현상을 마주했습니다. 양쪽에서 파도가 서로 마주 보며 치고 있었거든요. 우 교수는 “바닷가 멀리서 오는 파도는 바람과 바닥 깊이의 영향을 받는데, 이 ...

  • 해녀의 맨몸 잠수 비법은?

    해녀의 맨몸 잠수 비법은?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21호

    아이리신의 수치가 일반인보다 높게 나타났어요. 이정범 교수는 “수십 년간 차가운 바닷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결과 몸이 환경에 적응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해녀의 ‘숨 참기 잠수’는 똑똑한 선택? 인류는 약 5000년 전부터 잠수 활동을 했습니다. 진주를 캐거나, 해산물을 줍거나, ...

  • 해녀가 바다와 공존하는 법은?

    해녀가 바다와 공존하는 법은?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21호

    점점 줄어드는 겁니다.    Q. 호맹이로 바위를 닦으시던데, 어떤 이유인가요? 해녀들은 바닷물이 빠진 뒤 바위의 겉면을 깨끗이 닦는 ‘갯닦기’라는 걸 합니다. 해조류의 포자가 바위에 잘 붙을 수 있도록 하는 거죠. 갯닦기를 하고 나면 미역 씨가 날라와서 붙어 그 해에는 풍년이 들어요. 오랜 ...

  • 새만금 간척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

    새만금 간척지, 농사도 짓고 도시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8호

    활용하려면, 지하수가 상승하는 걸 막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예요. 간척지의 지하수에는 바닷물의 염분이 남아 있어 농작물이 자라는 데 피해를 끼칠 수 있거든요. 특히 간척지는 지대가 낮기 때문에 지하수가 지면 위로 잘 올라와요. 따라서 농업용 간척지는 물을 대 작물을 키우는 논으로 많이 ...

  •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8호

    흐르지 않고 고여 있어 산소가 부족할 수 있어요. 배수갑문을 열어 방조제 밖과 안의 바닷물을 순환시킬 수 있지만, 충분한 순환이 이뤄지기 어렵죠.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방조제 안팎의 수위 차가 크지 않아 배수갑문을 열어도 물이 많이 이동하지 않는다”고 원인을 ...

  • 새만금, 드넓게 펼쳐진 여긴 어디?

    새만금, 드넓게 펼쳐진 여긴 어디?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8호

    입구를 바위와 돌 덩어리 등을 쌓아 만든 방조제로 막습니다. 이후 방조제 안쪽의 바닷물을 적절히 빼면서 바다를 모래로 메우는 ‘매립’을 하면 바다를 육지로 만들 수 있답니다.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바다를 매립할 만큼 많은 양의 모래를 구하는 것이 어려워 최근에는 ...

  • [통합과학 교과서]  다가오는 태풍, 뱃머리는 어디로?

    [통합과학 교과서] 다가오는 태풍, 뱃머리는 어디로?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8호

    보내며 해양의 열에너지를 고루 분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대서양을 흐르는 바닷물의 순환이 멈추면 북쪽으로 따뜻한 해류가 가지 못해 유럽에는 매서운 추위가 나타나고, 저위도는 해수면이 높아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해류가 멈추면 열대 지방의 온난화가 심각해질 뿐 ...

  •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7호

    수 있었다는 거지요. 조양기 교수는 “해수면 상승으로 과거보다 조차가 커져 만조 때 바닷물이 많이 차오른다”며 “이번 목포 침수는 해수면 상승에 취약한 지역의 피해가 현실화한 사례”라고 지적했습니다 ...

  • 우리나라 ‘빨간불’은?

    우리나라 ‘빨간불’은?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7호

    조양기 교수는 “기후변화로 바람과 기압이 변하면서 대마난류가 실어 나르는 바닷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기후변화로 뜨거워진 난류가 동해안 쪽으로 많이 들어올수록 해수면이 더 빨리 오를 수 있다는 거지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