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2005년 07호

    한다. 예를 들어 18세기 스페인의 유명한 화가 고야는 ‘1808년 5월 3일’에서 처형당하는 민중의 모습을 그렸는데, 이들을 화면 왼쪽에 배치했다. 이는 보는 사람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어 작가의 예술적 의도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심리적 긴장감이 만든 편안함세로본능은 없을까? 건축물은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2005년 07호

    모집 아이디어를 얻었을지도 모른다. 1922년은 아인슈타인에게는 영광의 해요, 조선 민중에게는 아인슈타인을 이해하는 해가 됐다. 그해 1월 1일 동아일보는 ‘세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10명’을 뽑았다. 그 중 한 사람이 아인슈타인이었다. 동아일보는 그에 대해 “늬우톤(뉴턴)의 인력설을 파하고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2004년 07호

    존재로 인식됐다. 과학계의 이런 분위기는 사회에도 반영돼 프랑스 혁명 당시 귀족들은 민중들을 박테리아로 부르기도 했으며, 수많은 전쟁에서 상대편은 박멸해야 할 박테리아로 지목됐다. 미생물이 덮어쓴 ‘박멸의 대상’이라는 오해는 미생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방해해왔다. 미생물이 다른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2004년 05호

    임금과 인연을 맺어 벼슬까지 한 나무가 있는가 하면, 각박한 현실에서 의지할데 없는 민중들의 기도와 염원의 대상이 됐던 나무도 있는 것이지요.”이렇게 30년을 한결같이 나무를 연구해온 박 교수 역시 나무를 대하는 일상이 지겨울 때가 있다고 한다. 그럴 때면 언제라도 가방을 둘러메고 미련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2004년 02호

    위인은 물론이고 김검동, 김감불 같은 생소한 이름의 장인과 그런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민중의 흔적까지 고스란히 담겨있다. 청동기시대 농부에도 관심‘조선과학인물열전’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사람은 청동기 유물에 그 모습이 남아있는 밭가는 농부다. 열전이란 ‘여러 사람들의 개별적인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2004년 01호

    1세기 이집트 왕 프롤레마이우스 5세의 즉위를 기념하는 내용이 이집트 성각문자, 이집트 민중문자, 고대 그리스어로 적혀있었다. 이 로제타 석판을 판독한 사람은 장 프랑수아 샹폴레옹이었고, 그때 그의 나이 22세였다. 로제타 석판에 적혀 있던 고대문자는 판독되기 전까지 하나의 그림일 ...

  • 우리 삽살개

    우리 삽살개

    과학동아 2001년 12호

    할만하다. 책의 첫장을 열면 한국개의 기원과 한국 토종개에 대한 연구에서, 역사와 민중 속의 삽살개, 토종개의 수난과 삽살개 보존과정 등이 펼쳐진다. 이렇게 목차만을 살펴본 사람이라면 조금은 딱딱한 연구서를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책은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간다.개의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2001년 08호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의 연구실을 봐도 곧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교때 상으로 받은 민중서관 영한사전이 30년이란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깔끔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어느 곳에 흐트러진 종이 하나를 발견할 수 없으니 말이다. 소문에 따르면 대학교때는 지갑에 1천원, 5천원, 1만원짜리가 순서대로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1999년 12호

    하얀 잎은 맛도 좋지/ 배고픈 날 가만히 따먹었다오/ 엄마 엄마 부르며 따먹었다오”하는 민중가요에서도 이 추억을 볼 수 있다.붉은 찔레꽃은 없다하지만 백난아의 '찔레꽃'에는 한가지 어색한 점이 있다. 찔레꽃에는 연분홍과 흰색꽃은 있지만 붉은 꽃은 없기 때문이다. 광릉수목원의 이유미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1999년 07호

    관념을 지워내는데 얼마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운주사가 한과 저항을 녹여내는 민중들의 안식처라면 그 안식의 힘을 설명하는데 한층 더 신중하고 철저해야 한다. 우리가 과학을 버리고 독단과 과장으로 나아갈 때 천불천탑이 약속한 미륵의 새세상은 결코 오지 않을 것이다.사라진 불탑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