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과학동아 2020년 07호

    콜레라균에 감염된 동물에서 뽑아낸 혈청은 콜레라균에만 방어력을 갖는다. 혈청 속 항체가 항원 특이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검증된 사실이었지만, 1900년대 중반까지도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는 기작은 비밀에 싸여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항원이 체내로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2020년 07호

    세 과학자는 선천 면역반응과 후천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생체 내 핵심 물질을 규명하고, 이런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는 경로를 밝혀 인체 면역과정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크게 확장한 공로로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브루스 보이틀러와 율레스 호프만이 선천 면역반응 기작을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2020년 04호

    ◇ 보통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생명의 진화는 일종의 방향성을 띤다고 여겨졌다. 초기 생명체가 물에서 육지로 올라와 포유류가 된 것처럼 말이다. 여기서 고래는 대표적인 예외 사례로 꼽혔다. 포유류가 육지에서 다시 물로 돌아간 ‘역진화’가 일어난 동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역진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2020년 02호

    ◇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DGIST  실험실에 들어서자 얼음이 가득 담긴 스티로폼 상자를 든 연구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스티로폼 상자에는 냉장고에서 막 꺼낸 플라스크가 담겨 있었다. 플라스크에 든 것은 항체. 온도를 영하로 유지해야 항체 활성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항체를 0.1 ...

  • [수학뉴스]인어공주 조개가 입을 꾹 다문 사연은?

    [수학뉴스]인어공주 조개가 입을 꾹 다문 사연은?

    수학동아 2020년 02호

    휘어지는 정도의 차이는 껍질 성장 속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월 7일자에 실렸습니다.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2020년 01호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2019년 12호

     고기는 역시 두툼해야 제맛이라고 했는데. 최근 여기에 반기를 드는 ‘세력’이 등장했다. 복고감성 충만한 얇디얇은 ‘냉삼(냉동삼겹살)’의 부활이다. 꽁꽁 얼린 돼지고기를 약 5mm 두께로 썰어 익혀 먹는 냉삼은 입안에서 살살 녹는 부드러운 맛이 일품이다. 얇은 두께 덕분에 일반 삼겹살보다 ...

  •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2019년 10호

    야간에 이동할 수 있는 이유가 CRY4 단백질 변이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야간에 이동하는 철새와 유사한 단백질을 가진 비둘기의 CRY4 단백질의 결정화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특정 부위에 유전적 변이가 생긴 일부 철새의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

    과학동아 2019년 09호

     간식 앞에서 초롱초롱하게 바뀐 강아지의 눈빛에 ‘심쿵’한 경험이 있는가. 핑크색 젤리가 달린 것 같은 고양이의 앞발은 또 어떤가. 기꺼이 ‘고양이 집사’를 자처하게 만드는 치명적인 사랑스러움이다. 국내 반려동물 인구 1000만 시대, 인간에게 압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개와 고양이의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2019년 08호

     마르쿠스 크론포스트 미국 시카고대 생태및진화학부 교수팀은 실내에서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는 야생 제왕나비의 습성을 잃어버린다고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제왕나비는 번식기에 접어들기 전 떼를 지어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한다. 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