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기 폭발 꼽등이가 궁금해!

    인기 폭발 꼽등이가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2010년 20호

    제가 들어가 있는 건 꼽등이 중에서도 일부라고요.저는 물 속에 알을 낳는답니다. 그러면 물벼룩이나 개구리 같은 생물들이 돌아다니면서 제 알들을 물가 근처의 수풀로 옮겨 주지요. 운 좋게 풀을 먹는 초식 곤충들이 제 알이 묻은 풀을 뜯어 먹으면 그 곤충 속에서 알이 부화하고 자라다가, 그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2009년 11호

    습성이 있다. 큰 무리를 이뤄 수면 가까운 곳을 이리저리 헤엄치며 플랑크톤이나 검물벼룩과 같은 요각류, 갑각류, 어류, 오징어류 등의 먹이를 쫓는다. ‘현산어보’에는 고등어가 떼를 지어 먼 거리를 회유한다는 사실을 추측하게 하는 내용도 기록돼 있다.“추자도 여러 섬에서는 음력 5월에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2009년 04호

    만들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엔 먹이 사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물벼룩을 잡아먹은 작은 물고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은 큰 물고기가 모두 부실 체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을 섭취하는 사람도 충분한 영양을 얻지 못한다.연구진은 기후변화가 시작되면서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2007년 12호

    들어가기도 하지. 양갓냉이를 익혀 먹지 않으면 걸릴 수 있는 간질, 기생충에 감염된 물벼룩이 든 물을 마시거나 감염된 개구리나 뱀을 날로 먹으면 걸리는 스파르가눔, 돼지고기를 잘 익혀 먹지 않으면 걸릴 수 있는 유구낭미충증은 뇌나 눈으로 갈 수 있단다. 정말 무섭지?하지만 그리 걱정하지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2006년 13호

    장구벌레는 맨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눈과 입도 확인할 수 있다. 물벼룩도 맨눈으로 볼 수 있지만, 자세히 보기 위해 현미경을 사용한다. 마이크로미터의 세계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세포는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세포가 처음 발견된 것도 현미경을 처음 만든 로버트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2004년 05호

    일어난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는 수정없이 이뤄지는 이른바 단성생식은 벌이나 진딧물, 물벼룩과 같은 곤충이나 일부 어류, 그리고 닭에서도 일어난다. 예를 들어 여왕개미는 수개미와 교미를 해 일벌이 될 암컷을 낳지만, 수컷은 모두 교미를 하지 않은채 낳은 알에서 생겨난다. 그러나 상위동물인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2003년 03호

    나비와 같은 곤충류는 겉모양이 비슷한 지네나 노래기 등의 다지류보다는 게, 새우, 물벼룩이 속하는 갑각류와 유전적으로 더욱 가까운 관계에 있었다. 곤충류와 다지류는 모두 한쌍의 더듬이를 갖고 있는 반면, 갑각류는 두쌍의 더듬이를 갖고 있어겉모습에서 차이가 난다. 그렇지만 다지류는 ...

  • ⑤ 태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⑤ 태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과학동아 1998년 07호

    연쇄다. 조류가 태양에너지를 유기물로 전환한 화학에너지를 물벼룩이 이용하고, 다시 물벼룩이 이용하고 전환한 에너지를 송사리가 이용하고, 송사리가 지닌 에너지는 가물치에게, 가물치가 지닌 에너지는 백로에게 전해지면서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이어지는 것이다. 먹이연쇄를 거치는 동안 ...

  • 곰의 변신과 마리아의 수태

    곰의 변신과 마리아의 수태

    과학동아 1998년 04호

    받아 자식이 태어나는 것이다. 진딧물이 단성생식을 하는 대표적인 예이며 꿀벌, 물벼룩, 육상의 도마뱀류에서도 이 현상이 관찰된다. 심지어 포유류까지 단성생식을 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피임제 개발의 선구자였던 그레고리 핀커스 박사는 1930년대 초에 포유동물인 쥐에게 인공적으로 단성생식을 ...

  • 식성 유전자가 결정한다

    식성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1994년 07호

    그들은 말한다.뉴욕 대학의 마사 콰르나(Martha Cuarna)와 리처드 보로브스키(Richard Borowsky)는 물벼룩의 사촌쯤 되는 작은새우(Gammarus palustris)의 먹는 습성을 연구했다. 이 갑각류는 주로 조류를 먹는데, 미국동해안 외해수의 영향이 많은 습지에 서식한다. 1980년대 중반 보로브스키는 조류에 대한 이 작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