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해안 철새도래지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1992년 03호

    탐사대의 필드스코프에 걸려들었다. 천연기념물인 노랑부리저어새, 멋진 댕기를 한 댕기물떼새 등등.오후에는 주남저수지 남쪽 동판저수지로 이동했다. 사실 주남저수지에는 워낙 많은 사람들이 '철새 관광'에 나서 철새들의 수가 많이 줄어 있었다. 10여 ㎞를 무거운 탐사 장비를 들고 행군한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1991년 11호

    죽은 체 하거나 상처를 입은 체 함으로써 자신이나 새끼를 보호하는 것이 있다.꼬마물떼새도 그런 행동을 보인다. 여우 등이 둥지에 다가오면 어미새가 뛰쳐나와 상처를 입은 것처럼 땅위에서 버둥거린다. 이렇게 적의 주의를 끌면서 점차 둥지에서 멀어져 간다. 이 동안에 보호색을 가진 새끼들은 ...

  • 1억년전의 새화석 국내에서 발견

    1억년전의 새화석 국내에서 발견

    과학동아 1990년 12호

    남게 된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두 종류의 새가 발자국을 남겼는데 하나는 현재의 물떼새나 작은 해오리같이 물 위를 걸어다니는 조그만 새이고 다른 하나는 왜가리를 닮은 비교적 큰 새였을 것으로 짐작된다.이 두 층의 새 발자국은 서로 다른 암석층에 음각돼 있었다. 이는 이 두 종이 별개의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1987년 12호

    그간에 나타난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 여기에 그밖의 조류, 부지 저습지의 섭금류(도요와 물떼새류)와 부지의 명금류(참새목 조류)까지 포함시킨다면 더욱 더 엄청난 차이가 있다. 개발 전에는 육압형(陸鴨型) 수면성(水面性)오리-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고방오리 및 쇠오리 등 들오리들이 주종을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1987년 02호

    삑삑도요 외에 10여종)와 물떼새과(검은머리물떼새 검은가슴물떼새물떼새 왕눈물떼새)에 속한다. 이와같이 을숙도는 크지 않은 모래섬이지만 각종의 수많은 철새가 계절에 따라 찾아드는 철새들의 낙원이자 보고라 할 수 있다. 왜 철새의 낙원이 됐을까을숙도와 그 주변이 철새들의 낙원으로 된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과학동아 1986년 10호

    종류와 개체수 및 둥우리수는 다음과 같다. 번식조류는 쇠제비갈매기 63둥우리, 꼬마물떼새 51둥우리, 깝작도요 48둥우리, 개개비 47둥우리, 흰뺨검둥오리 24둥우리, 알락할미새 4둥우리의 순위였고 총 6종 2백37둥우리로 높은 번식밀도를 나타냈다. 최근 서울의 한복판 한강에 적은 수나마 희귀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1986년 10호

    텃새이지만 드물게 번식하는 편이다. 댕기물떼새는 흔히 번식하는 여름새이나 민댕기물떼새는 드물게 번식하는 여름새이다. 전자는 소택지에서 대개 3~5 마리의 작은 무리를 볼 수 있으나, 후자는해발 6백m 이하의 호반이나 소택지에서 5~6마리 또는 10마리 내외의 무리를 볼 수 있다. 알은 두 종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