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기염소 세마리 거느린 카펠라

    아기염소 세마리 거느린 카펠라

    과학동아 1995년 02호

     2월의 천문현상4일 수성의 외합. 지난 달 19일 동방최대이각에 위치했던 수성은 태양 뒷편으로 갔다가 4일 이후에는 서방최대이각(3월 1일)으로 움직인다.8일 마차부자리 유성우 극대. 보통 1월 31일부터 2월 23일사이에 출현하며 극대일은 2월 5일부터 10일사이. 시간당 평균 출현횟수는 두 개로 그다지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1992년 03호

    것이다. 낫의 모양은 의젓하게 앉아 있는 사자의 앞부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서쪽 뒷편으로 2등성과 3등성의 별들이 삼각형을 이루며 보이는 것이 바로 사자의 뒷부분이다. 아주 그럴듯한 모습의 사자이다.사자자리는 황도 12궁중 제 5궁에 해당한다. 수천년전, 하지에 태양이 이곳에 이르게 되면 ...

  • 로마

    로마

    과학동아 1990년 05호

    등 구약성서의 내용을 그린 불후의 작품이다. 미켈란젤로는 60세가 되던 해에 시스틴성당 뒷편에 다시 최후심판에 관한 벽화를 7년에 걸쳐 완성했다.그 밖에도 바울로사도의 무덤 위에 건립 한 성 바울로대성당, 세계 모든 교회들의 어머니라고도 일컫는 라테란의 성 요한대성당도 유명하다. 그리고 ...

  •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1988년 09호

    대지위에 지상 2층 지하 1층의 연구동과 설비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사진에서 보듯이 뒷편에는 아름드리 전나무 숲과 호수를 끼고 있을 뿐 아니라, '유럽의 벨 연구소'라 불리는 지상 6층 지하 2층, 연건평 1만 5천평의 막스 플랑크 물리연구소와 불과 50m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어서 연구소 ...

  • 동독(東獨)스포츠의 비밀

    동독(東獨)스포츠의 비밀

    과학동아 1988년 08호

    있는듯한 열의를 느낄수 있었다.|제약술 뒤떨어진 나라에서 기적의 약을?연구소 구내 뒷편에는 의문의 눈초리에 휩싸인 스포츠의학센터가 있다. '바이드너'박사는 "스포츠과학자는 인간의 육체적 기능에 대해 철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솔직히 말해 오늘의 동독스포츠 이 의학센터를 떼어놓고 ...

  •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

    과학동아 1988년 05호

    수표본관건물 바깥에 있는 야외전시장도 빼놓을 수 없는 구경거리다. 학생과학관 뒷편으로 경기과학고교와 연결되는 길목에 연못이 있고, 여기에는 물레방아를 돌려 전기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해놓았다. 이밖에 곡식을 가공하는 기구인 연자매 절구맷돌 등이 전시돼 있고 변성암 화성암 퇴적암 등 ...

  • 시계의 발달②

    과학동아 1988년 04호

    것들은 또다른 문제를 드러내보이면서 이어져온 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엄청난 발전의 뒷편에도 다른 많은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아니 어쩌면 발전은 다른 한편의 의미로 하나의 발전을 낳음으로 인해 이제까지 숨겨져온 새로운 한계를 발견하게 해주는 계기였던 것이리라. 이러한 발명의 축적 ...

  • 가야와 진주성싸움유물을 전시한 국립 진주 박물관

    가야와 진주성싸움유물을 전시한 국립 진주 박물관

    과학동아 1988년 03호

    길이 51.6cm, 높이 10cm, 너비 24.4cm이고 볼가리개는 길이 31.5cm, 너비 16.4cm이다. 뒷편에 곧추선 귀가리개로 챙이 붙어있는 말얼굴가리개와 볼가리개로 구성되어 있다. 말얼굴가리개는 쇠판 16장을 못으로 박아 조립하여 만들었다. 말얼굴가리개와 볼가리개의 테두리에는 작은 못이 부착되어 있어 서로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1987년 07호

    10~30˚Κ이다. 성간운을 관찰하면 말머리 성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간가스가 뒷편의 별빛을 가려 검게 보이는 암흑성운이나, 가까이 있는 밝은 별빛을 반사해 희뿌옇게 보이는 산광성운(散光星雲)으로 보인다. 별이 태어나는 네가지 계기  성간운의 밀도가 비교적 높다고 하더라도 태양의 ...

  •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1987년 07호

    것 외에 시카고대학에서 기상학을 전공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기상인이다. 중앙기상대 뒷편의 백엽상에서 사진촬영을 요청하자 "백엽상이 기상업무의 심볼로 되던 때는 지났다"며 위성사진을 수신하는 방으로 안내를 했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