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07호

     올해 2월 기준으로, 전국 7곳의 수족관에 큰돌고래 25마리, 남방큰돌고래 1마리, 두 돌고래의 혼종 2마리, 흰고래 8마리 등 총 36마리의 고래가 사육되고 있어요. 대부분 고래가 너무 좁은 수조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건강이 좋지 않아요.  Q 작년 10월, 흰고래를 방류하겠다고 선언한 수족관이 ...

  • 조금 이른 고래 올림픽 가장 날쌘 고래는?

    조금 이른 고래 올림픽 가장 날쌘 고래는?

    수학동아 2020년 06호

    모습을 3D로 구현한 뒤 시뮬레이션했어. 그 결과 속도가 가장 빠른 고래는 대서양알락돌고래였어! 꼬리를 위아래로 힘껏 흔들면 앞으로 나아가는 힘은 세지지만, 고래와 함께 움직이는 물의 움직임을 방해해. 연구팀은 이 사실을 고려해 속도를 구했어.연구팀은 3D로 또 한 가지 재미있는 실험을 ...

  • [과학뉴스] 회색물범이 박수를 치는 이유는?

    [과학뉴스] 회색물범이 박수를 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05호

    결과지요. 일반적으로 바다에 사는 포유류들은 소리로 커뮤니케이션을 해요. 예를 들어 돌고래는 휘파람 소리를 내고, 혹등고래는 신음 소리와 울부짖는 소리로 노래를 부르지요. 또 지느러미나 꼬리로 바닷물 표면을 세게 쳐서 소리를 만들기도 해요. 그런데 신기하게도 회색물범은 두 지느러미를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04호

    있어요. 최근 관광객이 많아지면서 더욱 심해지고 있지요. 제주 앞바다에 사는 남방큰돌고래의 터전이 훼손된 거예요.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화장실이 필수예요. 이게 바로 똥본위화폐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유지요. 그래서 핫핑크돌핀스 사무실의 화장실에는 양동이와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2020년 02호

    이후 해양수산부가 연간 네 차례씩 해저 생태계를 조사하고 있고, 현재까지는 남방큰돌고래가 관측되는 등 생태계 이상 징후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블랭킷은 오히려 어류의 서식지 역할을 했다. 결과적으로 해양 생태계가 더 풍부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우 대표는 “해상풍력과 함께 관광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

    과학동아 2020년 01호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고래류의 먹이 섭취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크기가 다양한 돌고래와 고래 300여 마리에 센서를 부착했다. 이를 통해 고래의 행동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영상으로 먹이 섭취방법을 촬영해 분석했다. 그 결과 고래의 몸집은 먹이 섭취 방식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01호

    실력을 뽐내는 것으로 유명하지. 그래서 ‘킬러 고래’라는 별명까지 있단다. 상어나 돌고래를 잡아먹기도 하지만, 주로 먹는 식량은 ‘시눅 연어’라 불리는 엄~청 큰 크기의 연어야.우리는 사람과 달리 수컷과 암컷의 수명이 꽤 달라. 수컷은 30년 정도밖에 못사는 반면, 암컷은 30~40살까지 출산을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4호

    야생 대형 고래의 심장 박동을 측정한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거든. 야생 고래는 돌고래처럼 배를 뒤집지 않아 심장의 전기 신호를 읽는 심전도 장치를 심장 가까이 붙이기 어려워. 게다가 우리는 먹이를 먹으면서 배 부분이 아코디언처럼 늘어났다 줄어들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장치가 쉽게 ...

  •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21호

    지느러미로 혹등고래를 구분해요. 우리나라 제주도의 돌고래 연구자들이 등지느러미로 돌고래를 구분하는 것처럼요.“운이 좋네요! 올해 이곳에 나타난 새끼 고래가 겨우 8마리라 만나기 어렵거든요.” 캐나다탐험대는 돌아오는 길에 해달도 만났어요. 등대섬 근처 켈프 숲에 혼자 사는 해달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5호

    등 해양쓰레기에 상처 입은 돌고래도 종종 발견되고 있습니다. 인간 때문에 고통받는 돌고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함께 고민해 주세요.”  제주 무당개구리는 어디서 가장 안전할까?“파일럿 실험은 설계한 실험이 잘 작동할지 사전에 확인해 보는 실험을 말해요. 가설을 세우고 실험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