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

    수학동아 2023년 12호

    걸렸다. 이는 정밀한 시계 기술의 등장과 함께 해결됐다. 현재 위치에서 태양이 정남에 도달하는 순간을 정오로 정하거나 혹은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도구인 ‘육분의’로 정오에 태양의 고도를 측정하면 출발 지점의 시계와 비교해 경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태양이 정남에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

    과학동아 2023년 12호

    설명에 의하면, 여러분이 7월 29일 발사한 로켓 ‘Faist_V.1.0’의 목표는 상공 500m에 도달하는 거였어요. 엔진은 스테인리스, 몸통은 아크릴이고요. 데이터 수집기와 카메라, 낙하산을 장착한 로켓이니 처음 종이로켓에 비하면 무척 발전했네요. 그런데 왜 1년 전 시점에 해결된 연료 문제가 발사를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

    과학동아 2023년 12호

    ”“미끈미끈한 그 물질이 바로 알긴산이예요.이 알긴산으로 약을 만들면 장까지 도달할 수 있을까요?” 제약공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의 호기심 어린 눈길이 초록 젤리에 모였다. ‘전문가가 되어보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제약공학자’ 수업 현장 속으로 함께 들어가보자. 10월 26일 오전, 경기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

    과학동아 2023년 12호

    당시 페르미는 우주에 외계인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으며, 그 중 몇몇은 지구에 이미 도달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지구 밖 우주에서 온 지적 생명체를 만난 적이 없죠. 여기에 의문을 품은 페르미는 동료들에게 “그들은 어디 있지?(Where are they?)”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2호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누리호는 18분 58초 동안 비행하며 목표 고도인 550km에 도달해 위성 8기를 우주로 내보냈어요.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누리호는 하루 전인 24일 발사 예정이었어요. 하지만 그날 오후 발사대의 헬륨 저장탱크와 지상장비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에서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

    어린이과학동아 2023년 11호

    깊은 해저는 빛이 도달하지 않는 적막하고 어두운 공간입니다. 하지만 열수구● 주변엔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 숨쉬고 있죠. 두꺼운 얼음층으로 덮여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 외계 바다에도 생명체가 숨어 있진 않을까요?   주스, 얼음 위성에서 생명체 가능성 찾는다! ‘골디락스 존’은 생명체가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꼬마 여우 나눌리, 저주를 푸는 주문을 외쳐라!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꼬마 여우 나눌리, 저주를 푸는 주문을 외쳐라!

    어린이수학동아 2023년 11호

    6쪽과 함께 보세요!  “마법 수업에서 최고의 학생들만 받을 수 있다는 ‘레드’ 레벨에 도달해야만 다시 사람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냠냠! 어수잼] 꼬마 여우 나눌리, 저주를 푸는 주문을 외쳐라!Part1. 나눌리의 첫 수업Part2. 마법약 1개를 만드는 데 필요한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2023년 11호

    연구하는데 최근 확률론에서 인기가 많은 주제예요. 저는 이징 모형에서 입자가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연구를 했어요. 이때 작성한 논문은 아직 출판되진 않았지만, 학회지에 제출해서 심사를 기다리고 있어요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

    과학동아 2023년 11호

    빅뱅 이론은 우주가 어떤 한 점에서 시작해 점차 그 공간을 팽창시키다 오늘날의 우주에 도달했다는 이론이죠. 빅뱅(Big Bang)을 직역하면 ‘대폭발’이니, 우주의 팽창이 마치 폭죽이 터진 뒤 그 파편이 퍼지듯 이뤄진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지 연구원은 “제일 많이 착각하는 부분 중 하나는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

    수학동아 2023년 10호

    정보에 따르면 발사체를 지상 장치로부터 던지는 속도는 초속 2km를 넘으며 이후 고도 60km 도달 시점에서 로켓을 점화해 궤도 속도로 올린다. 그런데 문제는 회전운동을 통해 속도를 올리기 때문에 원심력을 피할 수 없는 점이다. 또 최대 원심 가속도는 10,000g에 이른다.  따라서 사람은 절대로 탈 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