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한국 문화 꽃피운 과학 찾아서

    과학동아 2011년 04호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니라는 것이다. 흔히 조금 모자란 사람을 새대가리에 비유하는데, 과학자들은 연구 결과 꾀꼬리나 까마귀, 앵무새 같은 새들은 지능이 꽤 뛰어나다고 밝혔다. 미국 듀크대 에릭 자비스 교수는 새의 뇌가 인간의 뇌와 상당히 유사하며, 대부분 뇌저신경절로 돼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어린이과학동아 2010년 10호

    셈 치고 이렇게 제가 내려왔어요.사람들은 흔히 머리가 나쁜 사람을‘ 새머리’나‘ 새대가리’라고 불러요. 그런데 당신을 보니 그 말이 옳지않다는 생각이 드네요.이런! 제가 가장 듣기 싫은 말을 하다니! 제가 이렇게 빌딩 위에서 항의를 하고 있던 것도 바로 그 말 때문 이었어요. 저는 태평양에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2010년 03호

    우리는 200년이 지난 지금도 정약전이 했던 실수를 되풀이하곤 한다. 우리가 흔히 문어대가리라고 부르는 부분은 사실 머리가 아니라 몸통이다. 따라서 창자가 머리 속에 있다는 것은 창자가 몸통 속에 있다는 말로 바뀌어야 한다. 문어의 몸통 아래쪽으로는 다리가 나 있으며, 몸통과 다리의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2008년 10호

    있는 지구를 보는 것 같다. 동그란 분꽃 씨의 껍질을 벗긴 뒤 보이는 배젖에서 콩나물 대가리처럼 2개로 갈라진 부분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배율 267배.바닷속 물고기(니모)의 미소바이오기술상·일반부 | 이지영·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애니메이션 주인공 ‘니모’를 닮은 바닷속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2008년 03호

    실수로 실험이 실패했을 때 연구원들이 스스로 머리를 쥐어박으며 ‘어이구, 이 닭대가리…’라고 자조하는데서 착안했다. 때로는 미소를 머금기도 하고 가끔은 페이소스에 가슴이 뻐근해진다. 처음 미국생활을 하는 주인공은 (아직 이름도 없다!) 30대 초반이지만 이미 10여년을 연구에 헌신한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2007년 23호

    신나요!”“기발 씨, 나도 새의 지능이 높다는 사실이 무척 기뻐. 그럼 어렸을 때 새대가리로 불렸던 나도 머리가 그다지 나빴던건아니란 얘기니까. 그치?”사건 해결 - 실험은 실험일 뿐!각자 엉뚱한 공상에 빠져 있는 이기발 군과 모지란 양. 아무래도 닥터고글이 이쯤에서 정리를 해야 할 듯 하다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2007년 01호

    나쁜 사람을 더 이상 ‘새대가리’라고 부를 수 없게 됐다.유럽의 인식신경과학 지중해연구소와 국립중앙과학연구소는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림을 기억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1월 6일자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비둘기가 기억능력이 뛰어나며 기억에 근거해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2004년 06호

    한국과학문화재단과 동아일보, 동아사이언스는 청소년들이 과학기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앰배서더 과학강연을 개최하고 있습니다.5월 8일에는 새 박 ... 있어 멀리서 다가오는 것도 사람보다 훨씬 잘 본다. 이런데도 우리는 과연 새에게 ‘새대가리’ 라는 말을 붙일 수 있는 것일까 ...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Ⅰ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Ⅰ

    과학동아 2001년 07호

    있는 돛’, ‘내리막길에서는 브레이크를 잡을 수 있는 수레’, ‘자루 구멍이 있는 도끼 대가리’ 같은 것을 발명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이달로스가 발명한 것으로 전해지는 것 중에서 인류의 삶을 크게 바꿔놓은 것이 있습니다. 바로 날개입니다. 다이달로스가 어떻게 날개를 만들게 됐을까요 ...

  • 동물도 생각할까!?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2001년 05호

    침입자가 누군가에 따라 그에 맞는 적절한 속임수를 구사하는 것이다. 우리말에 ‘새대가리’란 말이 있다. 그러나 물떼새의 행동을 보면 이 말은 그 의미가 바뀌어야 할 것 같다.여름밤의 요부, 반딧불이때로는 주린 배를 채우기위해 수컷을 거짓으로 유혹하기도 한다. 수컷 반딧불이는 밤이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