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R&E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

    과학동아 2018년 09호

    R&E(Research & Education)는 학생들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를 정해 계획하고 실행한 뒤 그 결과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활동입니다. 지난 호에서 R&E가 어떤 활동인지 전체적으로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R&E를 시작했지만 어떻게 해야 잘 할 수 있을지 막막한 학생들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조금 더 구체적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2018년 08호

     제 1 장, 수학나라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동화 속 이야기냐고요? 아닙니다. 국립부산과학관과 국립대구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이 함께 기획한 전시 ‘수학나라의 앨리스’가 6월 22일부터 9월 2일까지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열리거든요. 누구나 전시장에 오면 앨리스가 돼 수학나라를 탐험할 수 있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

    수학동아 2018년 07호

    작대기가 길어도 실처럼 가늘다면 아주 좁은 공간에서도 작대기를 휘지 않고 한 바퀴 돌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방에 가까스로 들어가는 큰 가구는 어떨까요?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국적 연구팀이 가구를 돌릴 묘수를 내놨습니다.  화장실처럼 좁은 공간에서 길이 1m인 작대기를 한 바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2018년 07호

     ‘에구구, 너무 늦었네!’ 세상에, 꿈을 꾸는 걸까요? 방금 사람처럼 시계를 보고 혼잣말을 하는 토끼가 지나갔어요. 이대로 토끼를 놓치면 왜 따라가지 않았냐며 친구들이 나무랄 거예요. 말하는 사이 토끼가 온갖 수학 기호와 도형이 빨려들어가는 굴로 들어가 버렸네요. 서둘러 쫓아가 보자고 ...

  • [Issue] ‘한반도 훈풍’에 환율 하락 기업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다?

    [Issue] ‘한반도 훈풍’에 환율 하락 기업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다?

    과학동아 2018년 06호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분위기까지 조성되면서 한국의 원화 가치가 상승하고있다(달러에 대한 원화 환율 하락). 한국은 북한과의 휴전 상황으로 전쟁이 일어나기 쉬운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2017년 9월처럼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전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경우,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수학동아 2018년 04호

     어느새 네 번째 방송으로 찾아온 수학동아TV의 BJ맹추입니다! 오늘의 수학 개념은 복잡한 계산은 없지만, 기호가 많아서 골치 아픈 ‘집합’이에요. 처음엔 헷갈려도 계속 보면 금세 익숙해지니까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시청 바랍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일단 모이기만 해! 책상에 10분만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2018년 04호

     168cm 키에 검은 머리를 길게 늘어뜨리고 핑크색 드레스를 차려입은 여성이 무대에 등장했다. 무대 중앙까지 이동한 그는 음악이 흘러나오자 노래하기 시작했다.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에 나오는 ‘밤의 여왕’이다. 성악가 조수미 씨가 불러서 유명해진 그 곡이다.  완벽한 로봇 디바 ...

  • [폴리매스 프로젝트] 단순그래프Ⅱ와 선분 색칠하기

    [폴리매스 프로젝트] 단순그래프Ⅱ와 선분 색칠하기

    수학동아 2018년 02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 단순그래프와 페러스 다이어그램

    [폴리매스 프로젝트] 단순그래프와 페러스 다이어그램

    수학동아 2018년 01호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2017년 11호

    9월 3일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이뤄진 6차 핵실험으로 인공지진이 발생했다. 당시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5.7로 발표 했지만, 미국과 중국은 6.3으로, 일본은 6.1로 발표했다. 또 노르웨이 지진연구소는 처음에는 규모를 5.8로 발표했지만 열흘가량 지난 뒤 6.1로 상향 조정했다. 우리나라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