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

    과학동아 2015년 02호

    1955년 4월, 저명한 과학사학자 I. 버나드 코엔이 아인슈타인을 찾아가 인터뷰를 했다. 그로부터 2주 뒤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그 인터뷰는 아인슈타인의 생각을 마지막으로 읽을 수 있는 기회였다. 코엔은 벤저민 프랭클린과 아이작 뉴턴에 대한 방대하고 엄격한 연구로 정평이 나 있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2014년 01호

    원래 이렇게 미세조정이 돼 있었다’고 생각하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다중우주론의 등장과 함께 이런 입장을 취하는 과학자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과학자들은 이것이 어떻게든 설명돼야 할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미세조정의 문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2012년 10호

    Level 1 인류와 생명1 인류의 끝 하나의 종, 인구는 70억 당신이 꿈꾸는 ‘세상의 끝’ 중 가장 간편하다. 복잡하게 세상을 다 없애지 말고, 염증을 느끼게 하는 단 하나의 종만 사라지게 하면 되지 않는가. 예를 들어 호모 사피엔스. 이 종이 잘 걸리는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강한 병원체를 만들어 슬쩍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2012년 05호

    파트1에서는 대표적인 다중우주론 네 가지를 소개한다. 파트2에서는 끈이론에서 시작된 다중우주론을 소개한다. 파트 3에서는 각각의 이론의 한계와 비판을 정리해 보고, 다중우주를 둘러싼 논란과 의의를 요약한다.다중우주 아이디어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 기사에서 소개할 아이디어만 여섯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2012년 05호

    [관측 가능한 우주 범위 밖에서 우주가 멈춘다는 증거는 없다. 이런 우주가 하나하나의 우주를 구성한다고 보면 전체가 다중우주를 이룬다.]특징 비슷한 우주가 반복된다1단계 다중우주는 관측 한계를 벗어난 지역 너머에 존재하는 또다른 우주다. 이 우주의 특징은 우리 우주와 같은 물리법칙의 지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2012년 05호

    있었다. 이 주장을 부정하기에는 우리 우주의 우주상수가 너무나 절묘했지만, 새로운 다중우주론이 이 문제를 해결할 후보로 등장했다.아이디어 우주 속에 다른 차원의 우주가 10500개?끈이론이 예측하는 두 번째 다중우주는 서로 다른 진공 에너지, 즉 우주상수를 지니는 우주가 굉장히 많다고 본다. ...

  • Part3. 비판과 한계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2012년 05호

    것은 그저 우연이다. 코페르니쿠스가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면, 다중우주론은 ‘우리 우주도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Part2. 끈이론 다중우주Part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2012년 04호

    10500개 존재한다. 보다 극단적인 버전으로 데이터유니버스 여행을 끝내자. 인플레이션 다중우주론에서는 우리 우주만큼의 데이터를 담은 우주가 ‘무한 개’ 존재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2012년 03호

    스티븐 호킹과는 블랙홀의 정보 손실 문제로, 리 스몰린과는 양자 중력의 방법론과 다중우주론으로 대결했다. 이 책에서도 양쪽의 논지를 읽을 수 있다. 마침 스몰린의 책을 번역했고 서스킨드의 끈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김낙우 경희대 교수가 번역해 전문적인 내용을 잘 살렸다.다중우주든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2011년 10호

    “닥치고 방정식이나 푸시지!(Shut up and calculate!)”이유는 묻지 말고 계산이나 하라는 이 비아냥은 놀랍게도 양자역학이 간혹 듣는 비판이다. 20세기 가장 성공적인 이론 중 하나지만, 양자역학은 결점이 없는 이론이 아니다. 오히려 너무나 뻔한 결점이 있어서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무엇이 현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