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

    과학동아 2017년 09호

    수지상세포를 이용해 사람의 뇌까지 침투합니다, 임신부가 감염되면 신생아에게 뇌수종, 뇌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만지는 것만으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서울대 수의대 연구팀이 2014년 서울과 인근에 거주하는 톡소포자충 감염 고위험군 673명을 조사한 결과, 감염률은 접촉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

    과학동아 2017년 07호

    예방하는 백신을 연구하고 있다. 콜레라와 이질, 장티푸스 같은 설사병과, 메르스, 일본뇌염이나 뎅기열 같은 모기로 인한 바이러스성 감염병에 중점을 둔다. 서울대에 있는 본부 외에도 동남아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 세계 27개국에서 현장 연구를 하고 있다. 전염병을 역학 조사하고, 기존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

    과학동아 2017년 07호

    A형간염, B형간염, E형간염,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자궁경부암, 인플루엔자,일본뇌염, 말라리아, 홍역, 수막구균성수막염, 유행성이하선염, 백일해, 폐렴구균성질환, 소아마비, 광견병,로타바이러스, 풍진, 파상풍, 진드기에 의한 뇌염, 결핵, 장티푸스, 수두, 황열병 살아 있는 백신, 죽어 있는 ...

  •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

    과학동아 2017년 04호

    감염돼 있다는 논문이 실렸고요. 하지만 뉴트리아가 치사율이 높은 탄저병과 뇌염 유발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과장된 면이 있습니다.뉴트리아는 우포늪과 같은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가는데, 그곳의 상위 포식자인 뉴트리아가 그토록 치명적인 세균, 기생충에 감염돼 있다면 다른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특별 미션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특별 미션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9호

    주변국 사람들은 홍역이 전염될까 불안해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니에요. 메르스와 일본뇌염, 지카 바이러스, C형간염 등 요즘들어 여러 가지 바이러스성 전염병이 세계 곳곳에서 유행하고 있어요.최근 유행하는 전염병들의 가장 큰 특징은 ‘후진국형 질병’이라는 거예요. 후진국형 질병은 ...

  • 벌레의 습격

    벌레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13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등의 질병을 옮기거든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일본뇌염 환자수는  2013년 14명, 2014년 26명, 2015년 40명으로 증가하고 있답니다.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인간을 가장 많이 해치는 동물은 단연 모기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2015년 전세계 사람들의 사망 원인을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2015년 20호

    3~15분이나 걸렸던 거예요.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이용해 모기가 옮기는 질병인 뇌염이나 말라리아를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버섯으로 배터리를 만든다?!음식으로만 사용되는 줄 알았던 버섯이 배터리가 될 수도 있다고 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센기즈 오즈칸 교수팀이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2015년 11호

    발현을 바꾸거나, 변이된 유전자를 선택해 마치 휴전을 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증식속도를 늦추는 대신 숙주의 몸속에 장기간 증식할 수 있고, 숙주는 최소한의 바이러스를 허용하는 대신 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관용 또는 협상이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과학동아 2014년 08호

    최근에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아직 퇴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일본뇌염의 경우 1946년 인천 지역의 주한미군에서 최초의 환자가 보고된 이래 50년대부터 60년대까지 매년 환자 수천 명이 생겼다. 다행히 1971년 백신 도입 뒤 환자는 급감해 2009년까지 연간 1∼6명 정도만 발생했다. ...

  • 두유노우 마우스?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2014년 07호

    실험동물로 이용합니다. 햄스터는 특히 바이러스에 민감하기 때문에 광견병,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연구할 때 많이 쓰입니다. 기니피그는 항생물질에 민감하고 비타민C를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해 약리학, 면역학, 병리학이나 대사과정 연구에도 이용한답니다. 조금 더 크기를 키워보죠. 돼지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