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2003년 06호

    반응 방지제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건조시키면 미감광부가 용해되어 볼록판 인쇄용 볼록화상이 생긴다 내쇄력이 좋아 볼록판 윤전인쇄에 사용된다 대류권(對流圈)과 성층권(成層圈)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2002년 10호

    반응 방지제인 히드로퀴논을 넣어 05mm 정도 두께로 칠하여 접착시켜 감광층을 만든다 네거티브 필름을 밀착, 감광한 다음 현상액으로 씻어내고 건조시키면 미감광부가 용해되어 볼록판 인쇄용 볼록화상이 생긴다 내쇄력이 좋아 볼록판 윤전인쇄에 사용된다 대류권(對流圈)과 성층권(成層圈) ...

  •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2000년 07호

    사람은 슬라이드용 필름보다 노출이 부족하더라도 인화시에 어느 정도 보정이 가능한 네거티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3.지구 그림자를 찍어보자다중노출로 지구의 둥근 그림자 모습을 촬영하는 방법도 있다.이 경우 지구의 그림자도 공전하면서 하늘을 동에서 서쪽으로 이동해 가기 때문에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1999년 04호

    즉 정확하게 빛의 양을 노출하지 않으면 사진이 제대로 찍히지 않는다. 이에 비해 네거티브는 빛의 관용도가 넓기 때문에 적당히 빛의 양을 노출해도 ‘알아서’ 상을 맺히게 해준다. 따라서 빛의 노출을 능숙하게 맞출 수 있는 전문가만이 포지티브 필름을 사용할 ‘자격’이 있다. 빛의 관용도는 ...

  •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애니메이션 제작과정

    과학동아 1997년 06호

    16mm러쉬 필름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면서 컷 순서대로 편집하고 나서 완성된 35mm 네거티브 필름을 편집한다. 드라마의 흐름과 템포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그동안 촬영된 필름을 연결하여 맞춰가는 작업이다. 간단한 것 같지만 대단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11.녹음화면을 보면서 ...

  • 한화통신 대표 강경석

    한화통신 대표 강경석

    과학동아 1995년 08호

    하지만 어떤 경우라도 사물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은 항상 긍정적이어야 합니다. 네거티브하게 세상을 바라보면 안될 일은 더 안되고, 결국 나도 그런 세상에 빠져버리고 맙니다. 이래서는 절대 발전을 기대할 수 없지 않겠어요? 긍정적 사고, 또한 결코 내가 이 세상을 혼자 살고 있는 것이 ...

  • 실리콘밸리의 아침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1991년 09호

    대학으로 이 재능있는 두 청년을 불러들였다. 그리고 당시 가장 주목받는 분야중 하나인 '네거티브 피드백이론'을 주제로 휴렛의 석사논문을 완성시켰다.휴렛과 팩커드는 그들의 차고작업실에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이용해 발진기를 제작했다. 처음부터 운도 따랐다. 커다란 수주가 덩굴째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1990년 06호

    쳐다보면 눈에 상상외로 부담이 간다. 최근 일본이나 미국에서는 컴퓨터화면 표시방식을 네거티브에서 포지티브방식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이외에도 글자가 바뀌는 시간을 더욱 짧게 하기 위해 모니터의 전자빔이 진동하는 주파수를 향상시키는 작업도 진행중이다. 보통 화면 ...

  • 홈 뱅킹 시대 눈앞에

    홈 뱅킹 시대 눈앞에

    과학동아 1988년 10호

    그런 제한이 있을리 없었다.최근 은행카드는 이전의 한도금액 이상을 사용하지 못하는 네거티브 시스팀에서 이전 신용상태를 근거로 보유한도 3~4배 이상씩이나 현금인출이나 물건 구입이 가능한 포지티브 시스팀으로 바뀌어 카드 사용의 폭이 훨씬 넓어진 것이다.전에는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카드 ...

  • 토리노의 수의는 이렇게 찍었다

    토리노의 수의는 이렇게 찍었다

    과학동아 1987년 07호

    여러 차례 그 원인을 찾으려 애썼지만 알 길이 없었다. 어째서 음화로 나타나야 할 필름(네거티브)의 영상이 양화로 나타났단 말인가. 그러한 원인을 밝힌다면 오직 수의의 영상이 음화였기 때문이라는 결론 밖에는 내릴 수가 없었다. 그후 1931년 5월 '쥬세페 엔리'가 훨씬 진보된 사진술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