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포그래픽] 정말 체크남방 입나, 개발자의 진실

    [인포그래픽] 정말 체크남방 입나, 개발자의 진실

    과학동아 2022년 09호

    개발자는 연봉을 얼마나 받을까?야근은 자주 할까? 주로 입는 옷은 뭘까? 개발자 전용 플랫폼 프로그래머스가 2021년 경력 및 예비 개발자 5362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다. 다만 설문에 참여한 개발자의 73.5%가 25세~34세라 주로 초급 개발자라고 볼 수 있다. 연봉 분포를 볼 때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생태관광] 지역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생태관광] 지역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과학동아 2022년 08호

    발생하고 있다”며 “이대로 서식처를 침범한 선박들이 난립한다면 대정읍 앞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를 보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한편 녹색연합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은 지난 7월 12일 관광잠수함 운항으로 인해 제주 서귀포시 문섬의 암반과 산호 군락이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6호

    발견됐어요. 이 외계행성에도 생명체가 정말로 살고 있을까요?  2월 10일, 유럽남방천문대(ESO)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돌고 있는 세 번째 행성, ‘프록시마 d’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프록시마 d의 공전 주기는 약 5일이고, 질량은 지구의 1/4 정도로 추측되며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2022년 05호

    근육이라고는 없는 팔다리, 굽은 등, 거북목. A의 행색은 어떨까. 7년 된 남청색 체크 무늬 남방 위에 걸친 8년 된 검정색 후드 집업, 덥수룩한 머리카락 아래엔 제작 연도를 알 수 없는 안경테. 그렇다고 A가 유행에 무심한 건 아니다. A의 SNS 팔로워는 2만 2000명이 넘고 그가 쓰는 전자기기와 ...

  • [드론으로 본 제주] 독특한 화산의 흔적

    [드론으로 본 제주] 독특한 화산의 흔적

    과학동아 2022년 02호

     제주도 면적의 6%를 차지하지만, 제주 전체에 사는 생물의 46% 이상이 산다. 북방한계, 남방한계 식물이 모두 자라는 독특한 숲이며 천량금을 비롯해 법정보호야생식물인 개가시나무, 희귀식물인 빌레나무 등 60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해 있다. 제주의 허파로 불리는 이유다. 곶자왈은 지질구조도 ...

  • [지구사랑탐사대]나비가 팔랑팔랑! 불암산 나비정원에서 탐사 라이브 열렸다

    [지구사랑탐사대]나비가 팔랑팔랑! 불암산 나비정원에서 탐사 라이브 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22호

    배추흰나비, 남방노랑나비, 암끝검은표범나비, 그리고 얼마전 국내 증식에 성공한 남방오색나비가 살고 있었어요. 추헌철 연구원님은 “나비들은 종마다 좋아하는 먹이 식물이 달라서 인공 사육 환경을 조성하려면 나비가 좋아하는 식물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 지사탐 ...

  • [과학뉴스] 이끼도롱뇽, 빙하기 추위 피하다 한국에 눌러앉았다?!

    [과학뉴스] 이끼도롱뇽, 빙하기 추위 피하다 한국에 눌러앉았다?!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3호

    올라간다는 ‘남방 피난처’ 이론을 잘 설명하는 연구예요. 즉 한반도가 이끼도롱뇽의 남방 피난처였던 거죠. 전종윤 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빙하기에 온난한 기후의 피난처를 찾아 다니다 한국에서만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어요. 덧붙여, 지구사랑탐사대 도롱뇽 연구자인 전종윤 ...

  • [한페이지 뉴스]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한페이지 뉴스]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2021년 07호

    012년 4월 유럽남방천문대(ESO)의 비스타(Vista) 망원경이 지구에서 약 2만 5000광년 떨어져 있고, 태양보다 100배 큰 별(항성)인 ‘VVV-WIT-08’이 갑작스럽게 밝기의 97% 잃은 뒤, 약 200일 동안 어두워진 상태로 있다가 다시 빛나는 현상을 포착했다. 초거대 별이 몇 달 동안 별빛이 희미해졌다가 밝아지는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2021년 05호

    연결고리는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한 연구는 단일 계통의 이른 남방 확산보다는 동아시아로 확산하던 초기에 현대인이 동시다발적으로 여러 계통으로 분화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동아시아인 진화사 연구 무엇을 말하나동아시아인의 여러 초기 계통 사이의 관계는 아직 제대로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

    과학동아 2021년 04호

    바꿨다.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사는 “명태의 경우 서식지의 남방 한계선이 한반도에 걸쳐있기 때문에 개체군의 분포 위치에 따라 어획량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며 “남획 등 다양한 요인이 어획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사는 “아열대성 어류들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