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

    과학동아 2013년 07호

    찾아낼 수 있다. 바이오센서 크기 전체가 작아지는 건 덤이다. 탄소나노튜브, 실리콘 나노와이어 같이 아주 작은 물질들이 나노바이오센서에 쓰인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체내에서 암과 관련한 물질을 1fg/mL(fg는 펨토그램으로 1000조 분의 1) 감도로 찾을 수 있는 센서를 만들었다.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2012년 07호

    나노와이어다. 연잎의 표면과 같은 형태로 만들었다. 가운데 노란색으로 이뤄진 것은 나노와이어에 금을 증착시킨 것이다. 왼쪽 아래와 가운데 보이는 까만 막대가 전극이다. 이들로 회로를 만들어 전류를 흘렸다 끊었다 하는(스위칭) 저항메모리 반도체 성질을 구현했다. 오른쪽 아래 작은 그림은 ...

  • 나노갤러리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2012년 01호

    작지만 이 속에서 나노와이어를 3만 개나 얻을 수 있었다.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나노와이어의 모양과 지름은 모두 같다는 것을 확인했다.수소, 그래핀 꽃을 피우다수소를 주면 그래핀이 자란다.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는 그래핀을 만들기 위해 구리 표면 위에 메탄을 주입했지만 메탄은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2011년 11호

    223편이며 출원, 등록한 특허도 68건이나 된다. 그는 “현재 한 국내업체와 함께 구리나노와이어를 사용한 반도체를 컴퓨터에 상용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세대 반도체 엔지니어를 기르겠다는 꿈과 함께, 우리나라를 영원한 세계 최고 반도체 국가로 만들겠다는 열정 덕분에 그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2011년 04호

    나노 수준에서 정교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부족했다. 하지만 박 교수팀은 펩타이드 나노와이어로 전도성 고분자를 제어해 펩타이드-전도성 고분자의 하이브리드 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❶ 박찬범 교수(왼쪽 맨앞)와 연구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❷ 박 교수팀이 만든 나노 소재. 펩타이드의 ...

  • 인간 발전소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2010년 12호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압전식 나노발전기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교수팀의 압전식 나노와이어는 누르는 힘뿐만 아니라 구부리는 힘에도 반응한다. 기존 나노발전기보다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티탄산바륨(BaTiO3) 나노 신소재 덕분이다. 지금까지 왕종린 교수 연구팀이 사용했던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2010년 02호

    만들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이 외에도 빛을 내며 전기가 통하는 유기나노와이어, 인광체를 이용한 불소이온 검출 물질 등 이들의 연구는 매번 새롭다. ‘발상의 전환’이 가져온 결과만 보면 간단해 보이지만, 그 과정에는 철저한 학습과 노력이 있다.“창의성이라고 하면 흔히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2009년 11호

    시스템이 한몫을 하고 있다. 실제로 연구단은 2010년부터 시작될 2단계 연구과정에서 나노와이어와 DNA 분자를 붙이고 여기서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 시도가 성공하면 생명공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에서도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황 교수는 보고 있다. 2013년 3단계 ...

  • 초음파로 전기 만드는 나노 발전기

    초음파로 전기 만드는 나노 발전기

    과학동아 2007년 05호

    압력을 가할 때 전기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고분자 기판 위에 아연산화물 나노와이어를 수직으로 붙여 1cm3 당 4와트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나노발전기를 이용하면 외부 전원 없이 작동하는 나노소자를 만들 수 있다. 왕 교수는 “열역학에너지, 진동에너지, 유체에너지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2007년 01호

    실리콘을 기초로 하는 소자가 단번에 사라지지는 않을 전망이다.탄소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는 크기나 밀도를 조절하기 굉장히 어려워 상용화까지는 뛰어넘어야할 기술적인 문제가 많다. 게다가 연구실이 아닌 공장에서 반도체를 대량 생산해 내기에는 아직 실리콘의 경제성을 따라 잡지 못한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