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2016년 01호

    관계를 발견했다는 내용이었다. 예를 들어 천식 환자 중엔 9월생이 많았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환자 중엔 11월생 비율이 높았다. 고혈압 환자는 1월생을 정점으로 해서 한겨울에 태어난 사람이 많았다.식습관도 아니고, 체형도 아니고, 태어난 달이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니. 추울 때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

    과학동아 2015년 12호

    “음식이 아니라 심리의 문제”라고 설명합니다.MSG가 특히 뇌를 공격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뇌는 보호장벽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 먹은 글루탐산이 직접 뇌로 들어갈 수 없다고 반박합니다. 더구나 ...

  • 만성 가려움증,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2015년 12호

    만성 가려움증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그동안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밖에 치료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미국 솔크연구소의 마틴 굴딩 교수가 척수에서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중간뉴런의 단백질인 ‘NPY’가 만성 가려움증과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쥐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굴딩 교수는 쥐의 중간뉴런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

    과학동아 2015년 11호

    하는 첨가물도 신장암 위험성이 밝혀지면서 사용이 금지됐다. 타르 색소 역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어린이기호식품에는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이처럼 첨가물의 위험성은 끊임없이 재평가 되고 있고 새로운 위험이 나타나면 엄격한 규제가 가해진다. 늘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

    과학동아 2015년 01호

    “X정자는 열에 강하고 Y정자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치마보다 바지를 입는 게 더 좋다.”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딸 낳는 비법’이다. 실제로 기자 주변에는 딸을 낳고 싶다는 부부가 부쩍 늘었다. 통계청의 2013년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여자아이 100명 당 남자아이 수(출생성비)가 1990년 116.5까지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2014년 12호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은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큰 이유를 수컷끼리의 경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짝짓기 경쟁’ 가설은 20세기 후반에 성선택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윤곽이 잡히기 시작했다. 한 예로 스웨덴 스톡홀름대 패트릭 린덴포스 교수팀이 2007년 포유류 1370종을 조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10호

    오늘은 내가 좋아하는 축구교실에 가는 날이야. 유후~! 들뜬 마음으로 축구교실에 함께 다니는 주영이 집에 들렀어. 그런데 집 앞에서 주영이를 부르는 순간! 글쎄 주영이 어머니가 “잘 다녀와, 우리 아들~!”이라고 말하며 주영이를 와락 끌어안는 장면을 보고 말았어. 게다가 주영이는 엄마 볼에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

    과학동아 2014년 06호

    위염이 심해서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했던 적이 있다. 위장이 많이 망가져서 아무것도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니 평소에는 그렇게도 좋던 음식 ‘냄새’가 구역질이 날 정도로 역겨워졌다. 음식을 보고 역겨움을 느끼게 되면 자연스럽게 위에 부담이 되는 음식들을 먹지 않게 될 테고 따라서 위 ...

  • 우리는 미치지 않았다

    우리는 미치지 않았다

    과학동아 2014년 05호

    지난 15년 동안 4가지 정신장애가 폭발적으로 번졌다(미국 기준). 소아 양극성 장애는 경이롭게도 40배 늘었고, 자폐증은 20배 늘었으며,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는 3배로 늘었다.성인 양극성 장애는 2배로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 증가율은 미국보다 몇 배나 높다.갑자 ...

  • 간질과 ‘코 다 페이’

    간질과 ‘코 다 페이’

    과학동아 2014년 03호

    보면 다릅니다. 의사가 처방해 준 약인 페노바비탈을 먹였을 때 리아가 일시적으로 과잉행동을 보였고, 다일랜틴을 먹였을 때 잇몸에서 피가 나고 의식을 잃는 등 부작용을 보이기도 했어요. 리아에게 없던 병이 생긴 게 아닌지 의심이 들만 했지요. 반면 몽족 샤먼(종교적 능력자)인 ‘치 넹’은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