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2009년 06호

    불려왔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무장공자(無腸公子)와 횡행개사(橫行介士)가 있다.무장공자는 ‘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사람들은 게의 창자가 없다고 생각했고, 속이 빈 놈을 조상 앞에 내놓을 수 없다고 해 제상에 올리기를 꺼려했다. 물론 게를 제상에 올리지 않는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2009년 05호

    백아(白鵝, 흰기러기)가 하늘로 날아오를 때 내는 청아한 울음소리. 팔음 분류법 가운데 ‘석’(石)부에 속하는 편경의 소리를 우리 조상들은 이 ... 백성을 가르치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한시라도 몸에서 멀리해선 안 된다는 공자의 가르침으로 ‘예기’(禮記)에 전해진다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2005년 07호

    없는 부리를 가진 가장 오래된 새로 수컷과 암컷이 꼬리 깃털에 의해 확연히 구분된다. 공자새 외에도 다양한 원시 새들이 발굴됐다. 2002년 발견된 사페오르니스(Sapeornis)는 중생대에 발견된 새 중 가장 크며 제홀로르니스(Jeholornis)는 현생 새와 달리 공룡처럼 매우 긴 꼬리를 가졌고 뱃속에서 수십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2004년 11호

    갖고 있다.그렇다면 이공계 전공자, 그 중에서도 생물이나 약학, 의학 분야 전공자가 타전공자에 비해 월등히 유리하진 않을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박사는 “꼭 그렇지 않다”며 “2년이라는 훈련 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도 충분히 우주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2003년 02호

    실제 우리나라에서 자동차 사고는 사망 원인 중 1, 2위를 다툴 정도로 심각한 문제다. 공자님 말씀 같지만 최선의 방법은 안전운전을 통해 자동차 사고를 줄이는 일이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는 일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자동차는 설계할 때부터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해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2003년 02호

    몸길이가 20-50cm였던 공자새는 이빨이 없는 부리를 가진 최초의 새다. 다양한 종류의 공자새 화석들이 1억5천만년 전부터 1억2천만년 전에 이르는 지층에서 발견됨으로써 이미 많은 수의 조류들이 쥐라기 후기와 백악기 초기에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몸 전체에 깃털이 있고 비행용으로 보이는,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2002년 11호

    세로로 두세줄 써넣을 수 있을 만큼 제법 넓은 판도 얻을 수도 있다. ‘논어’에는 공자가 하도 ‘책’을 많이 읽어 가죽끈이 세번이나 끊어졌다는 구절이 있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이니 이 ‘책’은 아마 죽간일 것이다. 그래서 한자어 ‘책’(冊)은 여러 개의 죽간에 구멍을 뚫어 끈으로 이은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2002년 04호

    주인이건 두루 사용됐다.이에 반해 유교건축에는 대개 소박한 맞배지붕을 사용했다. 공자의 신위를 모신 향교의 대성전이나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은 거의 예외 없이 맞배지붕을 사용해 뭔가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심지어 봉건국가인 조선을 대표하는 시설이며 한양으로 천도할 때 궁궐보다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2001년 02호

    볼 수 있는 별들이 몇 안되기 때문이다. 그래도 일주 사진을 보면,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이 느껴진다. 뭇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듯이 덕으로 정치를 하면 자연스럽게 백성들이 따를 것이라는. 하늘의 궁궐 자미원동양 별자리는 3백60개나 되므로 아주 복잡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2000년 10호

    띄엄띄엄 놓여져 지평선 위에 빛나는 남쪽물고기자리 1등성 포말하우트까지 이어진다.공자가 지은 서경(書經) 요전(堯傳)에는 ‘허(虛)성은 추분때의 기준별이다’라는 글이 나온다. 허성은 지금의 물병자리 베타별과 조랑말자리 알파별로 이루어진 별자리인데 고대부터 추분을 정하는 기준으로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