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2020년 02호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한 뒤 기능을 조사한 결과 골수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작용제 이용한 항암제 개발이 목표”예 교수가 어려워도 작용제 항체를 연구하는 이유가 뭘까. 그는 “작용제 항체는 기존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

    어린이과학동아 2019년 13호

      픽토그램(pictogram) 언어가 통하지 않는 나라로 여행을 떠났는데 화장실이 급하다고 상상해 보세요. 다행히 화장실 앞에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그림 ... 오목한 둥근 원반 모양이랍니다.골수에서 만들어진 적혈구의 수명은 약 3~4달이며, 간이나 비장, 골수로 이동해 생을 마감한답니다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

    과학동아 2019년 11호

    대퇴골이나 치아에서 시료를 채취하는데, 그나마도 그 안에 골수가 남아있어야 한다. 골수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뼈를 잘게 잘라야 한다. 먼저 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뒤 뼈를 말랑하게 만드는 탈회 과정을 거친다. 약품(EDTA)을 이용해 뼛속 칼슘을 없애고 무르게 만드는 것이다. 뼈 상태에 따라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2019년 11호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저산소 상황이 되면 신장의 EPO 생산량이 증가한다. 늘어난 EPO는 골수의 적혈구 생성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산소 운반을 증가시켜 저산소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렇게 저산소 상황에서 EPO의 조절이 중요하다는 것은 20세기 초부터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

    과학동아 2019년 04호

    파괴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내 도덕적인 논란에 휩싸였다. 이 때문에 줄기세포 연구는 골수나 혈액(제대혈) 등 성인의 몸 곳곳에 소량씩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를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이때 구세주처럼 등장한 것이 2006년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彌) 일본 교토대 교수가 처음 개발한 ...

  •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2019년 03호

    교수는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혈관을 발견했다”며 “이 혈관들은 골수에서 면역세포를 내보내는 중요한 경로로 보인다”고 말했다. doi:10.1038/s42255-018-0016-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2018년 11호

    손상을 주는 물질을 이용해 화학적 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 하지만 이런 항암 물질은 골수나 모근 세포와 같은 정상 세포까지 구분 없이 제거해 흔히 항암 치료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백혈구 감소, 탈모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이후 연구자들은 다양한 암세포의 특성, 특히 암세포가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2018년 11호

    ’ 기술에 의해 어느 정도 해결됐다. 이들은 항원을 주사한 동물이 생산한 B세포와 골수암세포를 융합해 B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항체를 생성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 doi:10.1038/256495a0다만 여기에는 동물 B세포를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는 인간 항체와는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과학동아 2018년 08호

    면역억제제를 먹어야 한다는 점은 환자에게 큰 부담을 준다.때문에 현재 팔 공여자의 골수를 미리 이식해 수여자의 면역체계를 바꾸거나, 동물을 이용해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킬 만한 요소를 세포 수준에서 아예 없애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국내 최초 팔 이식 성공팔 이식을 처음으로 성공한 ...

  • [과학뉴스]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

    [과학뉴스]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

    과학동아 2018년 08호

    쥐 실험을 통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의 림프구가 척추 골수나 두개골 내 골수에 연결된 혈관을 따라 움직이며, 외부물질의 침입을 막는 뇌-혈관 장벽을 우회해 지주 막하강으로 직접 침입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주막하강은 뇌를 감싸는 뇌막 중 지주막과 연막 사이의 공간이다. 십킨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