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2021년 05호

    현대 물리학은 무한히 넓은 우주로 나아가는 한편 아주 작은 ... 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입니다.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가 만든 공식에 따르면 ... 새로운 현상을 찾다피터 왈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상태연구소 교수팀은 널리 쓰이는 텅스텐 탐침을 가진 STM을 활용해 비초전도성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

    수학동아 2021년 04호

    2020년 11월호를 읽은 독자라면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 일을 해낸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 1980년대까지만 해도 엉터리 실험으로 취급받던 고체 물질의 준결정 구조가 실존한다는 사실을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2021년 04호

    정수 양자홀 상태를 발견한 공로로 198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클리칭 교수는 양자홀 상태를 관찰해 ... 상태 연구로 물질의 근본을 이해하는 것은 고체물리학자들의 영원한 관심사”라며 “새로운 양자 상태를 발견해 과학지식의 저변을 확대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2021년 03호

    스프린 . 독일 브레맨대 극지원격탐사그룹장.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물리학과 해양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으며,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기후, 해양 및 고체지구과학 부문 박사후연구원, 노르웨이 극지연구소에서 해빙원격탐사 연구원을 지냈다. 극지 기후를 이해하기 위한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

    수학동아 2020년 11호

    연속적으로 공간을 채우는 원자 배열을 가진 고체 물질을 발견한 첫 번째 순간이었다 ... 구조를 학계에 발표했고, 이를 접한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인 폴 스타인하트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가 ...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회절무늬 형태를 가진 고체’로 말이다.   ★준결정 물질의 쓰임★준결정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2020년 09호

    느려지는지 아직 알지 못한다. 197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필립 앤더슨은 “고체 이론에서 가장 깊고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는 유리의 성질과 전이에 대한 이론”이라고 말하기도 했다.이 가운데 인공지능(AI)이 이 미스터리를 해결하기 위해 도전장을 던졌다. 2016년 바둑 AI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과학동아 2020년 06호

    것이다. 바로 이 칼로리라는 단위를 필자와 같은 물리학자들은 힘과 에너지를 설명하기에 더 적합하도록 ... 받아도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는 이상적인 고체. 강체 내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다는 ... 제곱을 곱해 구한다. ※필자소개염동한. KAIST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

    과학동아 2020년 04호

    매우 작은 물질을 집어낼 수 있어 지금도 생물물리학의 중요한 기술로 사용된다. 강 씨는 “국내에서는 기초물리학을 입자, 광학, 고체 등 세 개 분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며 “생물물리학의 경우 물리학도, 생물학도 아닌 경계학문으로 취급된다”고 말했다. 연구자 규모가 작은 기초과학은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

    과학동아 2020년 02호

    보통난이도 | 스케이팅의 물리학  ‘포스트 김연아’로 주목받는 유영 선수가 1월 14일 스위스 로잔에서 ... 이유는 얼음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층 때문이다. 빙판은 겉으로 보기에는 고체 덩어리이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표면과 얼음 결정 사이사이에 액체층이 존재한다. 단단한 결정 사이로 유동성이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

    과학동아 2019년 12호

    직접 해봤다. 엘사처럼 바다 위를 얼리면서 동시에 그 위를 달리려면 물리학적으로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지 말이다.  엘사┃ 얼음 발판 ... 돼야 할까. 바닷물을 얼리려면 전체 온도가 균일하다고 해도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는 상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얼음의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