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과학동아 2011년 01호

    지금껏 사회를 변모시키기 위해 필요했던 것이 거대한 프로젝트나 사람을 지도하기 위한 계몽이었다면, 이제는 사회를 구성하는 ‘원자’인 사람 개개인의 상호작용에 더 주목해야 한다. 개인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이 다시 개인과 사회의 운명을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2010년 01호

    있다. 앞서 소개한 홍정하의 ‘구일집’은 ‘구장산술’, ‘상명산법’, ‘산학계몽’을 참고했지만, 그보다 훨씬 많은 양의 천원술 문제를 싣고 있다.홍대용과 남병길, 이상혁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수학자다. 진취적인 실학자인 홍대용은 수학지식의 일상화를 추구했다. 또한 전문적으로 수학을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2009년 10호

    계수와 문제 풀이 과정에 등장하지만, 답에는 음수인 경우가 없었다. 예를 들면, ‘산학계몽’ 하권 ‘방정정부문’의 일곱째 문제의 풀이에는 아래 왼쪽과 같은 주식 숫자들의 배열이 등장하는데, 이에 대응하는 연립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한문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쓰기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수학동아 2009년 09호

    쉽지 않았어. 중국이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어. 중국의 주세걸이 1299년 펴낸 '산학계몽'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와. 이 문제는 조선 영조시기의 실학자 황윤석이 쓴 책 '산학입문(이수신편 21권)'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今有 鷄兎 一百共足二百七十二雙 只元 鷄足二兎足四 問 鷄兎各幾何"(금유 ...

  •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소백산천문대에서 펼쳐진 2박 3일 상상력의 향연

    과학동아 2009년 03호

    성 박사는 “과학자들은 전통적으로 과학의 내용을 대중에게 제대로 전달해야 한다는 계몽주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며, “좋은 SF란 과학적 설정과 소설이 전하는 메시지가 밀착해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소설”이라고 양측의 입장 차를 정리했다.Round 2상상력이라는 한솥밥을 먹는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2009년 01호

    사이의 상호작용과 모방이 얽혀 일어나는 문화적인 진화의 과정일 뿐 인간의 이성이나 계몽의 산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주장과 매우 유사하게 들린다.실제로 하이에크가 다윈주의자였는지는 자신할 수 없지만 그는 사회의 변화가 문화적 진화의 결과임을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2007년 03호

    때의 수준 높은 수학을 고스란히 보존하고 더욱 깊은 수준으로 연구했다. 특히 ‘산학계몽’ 같은 책을 잡과시험의 교재로 사용했다. 때문에 제곱근풀이와 방정식에 대한 이해는 조선 학자들이 같은 시대 명나라나 청나라 학자들보다 훨씬 앞서 있었다. 또 17, 18세기에 들어서는 유능한 수학자가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2005년 09호

    태도는 인간과 사회를 이성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라와 민족 차원에서 계몽할 대상으로 인간을 파악한 것이다. 눈의 분해능력을 최대로 확장해준 현미경 또한 이런 믿음을 불러 일으켰다. 당시 세태를 사실에 맞게 그려 보이려 한 신소설 중에는 ‘현미경’을 제목으로 달고 나온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2004년 08호

    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한 것이다. 그뒤 중세와 르네상스, 근세를 거치며 백과사전은 계몽의 수단이자 가장 일반적인 지식의 보고로 자리잡아 나갔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유통되는 정보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상황이 바뀐다. 극소수의 대가들이 생산하는 정보량만으로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데 ...

  • 강간도 적응인가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2003년 09호

    수 없이 생겨난 구조적인 부산물일 뿐인데 말이죠.르원틴(G팀): 적응주의자들은 프랑스의 계몽사상가 볼테르가 낙천주의를 야유하기 위해 쓴 ‘깡디드’(1759)에 등장하는 빵글로스 선생에 비유될 수도 있습니다. 깡디드에 나오는 이 선생은 모든 일, 심지어 지진마저도 신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