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가 동시에 깜빡깜빡하는 비결은?

    [가상 인터뷰] 반딧불이가 동시에 깜빡깜빡하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6호

    빛을 밝히는 건 수컷이 암컷의 주목을 끌기 위한 행동이야. 수컷 반딧불이는 수컷 개체수 밀도가 낮을 땐 각자 무작위로 불을 밝히다가, 밀도가 정해진 기준을 넘어서면 다같이 동시에 빛을 밝혀. 20세기 초반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우연으로 취급하거나, 사람들의 눈 깜빡임 때문에 잘못 본 거라고 ...

  • [기획] 곤충들의 미슐랭 맛집 동물 시체

    [기획] 곤충들의 미슐랭 맛집 동물 시체

    어린이과학동아 2021년 15호

    지느러미엉겅퀴 같은 식물이 5배 이상 더 크게 자랐고, 곤충과 이를 먹이로 하는 동물의 개체수가 4배 이상 많아졌어요.자연에서 동물이 죽어 부패하기 시작하면, 많은 곤충과 동물들이 모여 시체를 먹어요. 특히 먹이가 부족한 심해에서는 유기물질 덩어리인 고래 시체가 중요한 영양소가 됩니다. ...

  • [과학뉴스] 고래는 생각보다 더 대식가였어

    [과학뉴스] 고래는 생각보다 더 대식가였어

    과학동아 2021년 12호

    사실을 확인했다. 매튜 사보카 미국 스탠퍼드대 홉킨스 해양기지 연구원은 “고래의 개체수를 늘리면 해양 생태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

  • [특집] 독도가 앓고 있다

    [특집] 독도가 앓고 있다

    수학동아 2021년 10호

    급격히 늘어 독도 해조숲이 점차 감소하고 있죠. 독도에서 관찰되는 새들의 종류와 개체수가 변하는 것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살기 적합한 기온의 지역으로 움직이는 철새는 기후가 변화하면서 이동하는 길도 바꿀 수 있으니까요. 이에 최 선임연구원은 “최근 번식기의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

    과학동아 2021년 10호

    통해 확보한 그 지역 식물플랑크톤, 중형저서생물,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변화 데이터가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난다. 더 복잡한 분석도 가능하다. 해양자료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ODV(Ocean Data View)를 사용하면 JOISS의 자료를 수직 프로파일, 산포도, 수직단면도, 수평분포도 ...

  •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

    [특집] 독도의 하늘과 바다, 땅을 연구하는 사람들

    수학동아 2021년 10호

    다시 새끼를 키우기 위해 울릉도로 온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최 선임연구원은 “새의 개체수를 조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가 이동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것은 독도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가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독도의 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독도의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

    과학동아 2021년 10호

    뽑아 도주했습니다.사건의 목격자는 미국 일리노이주의 앨러튼 주립공원에서 조류의 개체수를 파악하던 헨리 폴록 미국 어바나 샴페인 일리노이대 생태·진화·행동학부 연구원팀입니다. 폴록 연구원은 “상세히 관찰한 결과 라쿤은 죽은 게 아니라 살아있었고, 그저 자고 있었을 뿐이었다”고 ...

  •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과학동아 2021년 07호

    멸종위기종인 한강납줄개는 이곳 섬강에서 최초로 발견된 민물고기입니다. 점점 개체수가 줄어 섬강에서 자취를 감추는 듯했는데,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것이 기적 같았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뿐이었습니다. 한강납줄개가 나타난 곳에서는 강바닥을 정비하는 공사가 한창이었습니다.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2021년 07호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조사한 24종의 조류 중 단 2종만 개체수가 증가하고, 16종의 개체수가 감소했다. 연구를 이끈 워터 코에닉 미국 코넬대 조류학연구소 연구원은 “매미가 드문 빈도로 갑자기 다량 출현하는 생활 방식은 실제로 포식압(잡아먹혀 개체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줄인다”라고 ...

  • [SF소설] 랄로랑이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2021년 06호

    하는 동물이 필수다. 그래서 개체수는 많지만 수명이 짧고 연약한 초식동물이 죽으면 개체수는 적지만 강인한 육식동물이 함께 생활하며 시체를 처리한다.코뿔소를 닮은 초식동물 엘라는 곰팡이 나무가 내뿜는 노폐물을 먹으며 산다. 엘라는 그리 똑똑하지 않아 늪이나 강에 빠지거나 나무에 뿔이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