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

    과학동아 2018년 06호

    높다는 사실과 유전적인 요인이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키우는 개에게 강박장애 가족력이 있다면 반드시 중성화 수술을 해서 더 이상의 번식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과학동아 2018년 04호

    등이다. 세로토닌은 주로 청소년에게 자살 충동을 느끼게 하거나 우울증상과 강박증상을 유발한다. 도파민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주의력과 기억력을 떨어뜨린다. 노르에피네프린은 불안을 조절하는 화학물질로 각성이나 공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사춘기의 좋은 경험은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

    과학동아 2017년 06호

    답이 돌아왔다. 최면, 들으면 들을수록 아리송했다.최면 이거 진짜야?사실 공황장애, 강박장애, 정신분열증, 조울증, 다중인격 등 마음과 관련된 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최면‘치료’는 꽤 효과적인 선택으로 인정 받고 있다. 19세기 무의식과 의식의 작용을 탐구하는 정신분석학에서 출발한 ...

  •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

    수학동아 2017년 05호

    ‘혼합박자’라고 합니다. 브루벡 콰르텟의 색소폰연주자 폴 데스몬드는 5박자 중 강박은 첫 번째와 네 번째에 있다고 말합니다. 5박자가 3+2로 나뉘니까 균등하지 않은 두 덩어리가 돼서 특이한 리듬이 생기지요. 그런데 사실 이 곡의 리듬은 평범한 축에 속합니다. 이번에는 조금 더 빠르고, 복잡한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

    과학동아 2017년 05호

    한다”고 조언했다. 강박적인 성격을 장점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적정 수준의 강박적인 성격은 실수를 줄이고 학습이나 일에 능률을 높여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기 때문이다.+ 더 읽을거리공중화장실에 대한 혐오? vs 공포? 화장실 포비아www.anxietyuk.org.uk/docs/TP_booklet.pdfin 과학동아 31년 기사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

    [Issue] 사랑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2017년 02호

    없되 강렬함, 결속력, 성적인 관심을 모두 포함하는 감정입니다. 논문에서는 여기에 강박관념을 더한 열정적인 사랑과 우정에 가까운 사랑까지, 사랑을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습니다.연구팀은 총 6070명을 대상으로 한 논문 25개의 데이터와 결론을 통합적으로 다시 분석했습니다(메타 분석). 이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2016년 03호

    게 아니라는 뜻이다. 그중 하나가 강박장애다. 같은 행동을 비정상적으로 반복하는 강박장애는 편도체보다는 운동제어와 각종 인지과정을 매개하는 기저핵 및 전두엽-시상 회로의 장애가 더 큰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독립된 병으로 인정받았다.사회공포증과 PTSD(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도 불안장애의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2016년 01호

    개발돼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관리가 가능한 질병의 영역에 들어섰다. 그 러나 치매, 강박증, 자폐증, 조현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치료법은 생명과학과 의학의 급격한 발전에도 상대적으로 큰 혜택을 받지 못했다.오늘날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약물치료를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

    과학동아 2015년 12호

    신드롬 E의 근원으로 지목했다. 맹목적인 복종과 공격성이 전전두피질 손상에 의한 강박성 인격장애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코카인과 같은 마약을 흡입해 극도로 흥분했을 때 전전두피질 중 내측전전두엽이 활성화된다는 것도 근거로 들었다. 무언가 엉성하다는 것을 눈치 챘겠지만 프리드 교수가 ...

  • ‘까똑, 까똑’ 문자 중독, 특히 여학생에게 위험!

    ‘까똑, 까똑’ 문자 중독, 특히 여학생에게 위험!

    과학동아 2015년 11호

    “문자를 보내는 횟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지만, 문자를 주고 받아야한다는 강박은 여학생이 더 크게 느낀다”며 “문자 중독이 학업에 미치는 피해가 더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리학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대중매체문화심리학’ 10월 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