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2010년 02호

    거야.“보통은 눈치 채지 못하고 다니지만, 도로 아래에는 여러 가지 감지기가 있어요. 감지기는 교통량과 속도를 측정해 도로공사와 서울시 등에 있는 정보센터로 보내요. 그러면 거기서 다시 도로에 있는 가변정보표지판에 결과를 보내 여기는 소통이 어떤지, 어디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를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2009년 07호

    쓰는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먼 거리에서도 지구 자기장을 자세히 관측할 수 있도록 감지기의 성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국내에서는 달 표면에 널린 흙으로 콘크리트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최근 한양대 토목환경공학부 이태식 교수는 경북 경주 지방의 흙으로 달 표면 토양과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2009년 06호

    있을까. 유 박사는 “현재 팔이나 손이 없는 사람은 인공 팔이나 손을 장착하고 근전도 감지기를 이용해 움직이고 원숭이 뇌파로 로봇팔을 움직이게도 한다”며 “미래 사회에는 사이보그가 자연스러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뇌와 심장만 있는 그것(it, 사이보그)은 인간으로 보기 힘들지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2009년 05호

    생긴 물체가 붙어 있다. 이것이 바로 압전체를 이용해 제작된 ‘후방 거리 경보기’(후방 감지기)다. 이 경보기는 압전체로 초음파를 만들어 보냈다가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된 뒤 다시 압전체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차 뒤에 있는 물체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소리로 알려주는 장치다.요즘은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2009년 01호

    분석할 예정이다.미국 뉴저지공대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도 태양폭발의 비밀을 푸는 데 한몫할 전망이다. 2009년 한국천문연구원에 설치될 예정인 이 장치는 태양에서 폭발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관측해 폭발이 일어난 부분을 정확히 찾아낸다. ...

  • 화성의 생명을 찾아라 NASA 제트추진연구소

    화성의 생명을 찾아라 NASA 제트추진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2008년 22호

    만들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더 이상 로켓 엔진을 연구하지 않고, 대신 탐사 위성이나 감지기 등 아주 정교한 연구 장비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로켓 엔진 기술이 발달해 민간 회사에서도 충분히 만들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제트추진연구소’라는 이름은 과거의 흔적인 셈이다.JPL이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2008년 12호

    지시문이 눈에 띄었다.뭐지? 궁금한 마음에 지시문을 따랐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단 감지기가 윙~ 하는 소리를 내며 나 씨의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좌우로 훑는다. 아, 스캐너구나. 측정하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10초.밖으로 나온 나 씨는 매장 한 쪽에 놓인 모니터를 보고 깜짝 놀랐다. 자신의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2008년 11호

    JPL에서 주관한다고 보면 된다. 천체물리학이나 지구과학 연구에 쓰이는 인공위성이나 감지기를 개발하는 일 또한 JPL의 몫이다.JPL 1년 예산은 16억 달러(약 2조원)로 현재 5000명의 정직원과 2000명의 계약직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 중 한국인 직원은 약 80명 정도다. 큰그림 보러가기 큰그림 ...

  • 올림픽 참가선수에게 위험한 베이징의 대기환경

    올림픽 참가선수에게 위험한 베이징의 대기환경

    과학동아 2008년 08호

    전자공학의 발달과 함께 바이오일렉트리닉스센서(bioelectrinics sensor)라는 새로운 생물감지기의 시대가 열렸다생체(生體)에 미치는 날씨 · 기후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생체로서는 인간 · 동물 · 식물이 해당된다 생물 기상학의 개념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955년 파리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2008년 06호

    전자공학의 발달과 함께 바이오일렉트리닉스센서(bioelectrinics sensor)라는 새로운 생물감지기의 시대가 열렸다생체(生體)에 미치는 날씨 · 기후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생체로서는 인간 · 동물 · 식물이 해당된다 생물 기상학의 개념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955년 파리 ...

  • 더보기 +